정부가 지난 17일 제안한 ‘남북 군사당국회담’ 시한을 하루 앞둔 20일 밤까지 북한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정부는 이날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북쪽과 접촉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군사회담 관련해서는 아직 북측의 반응은 없다”며 “북한의 호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북쪽에서 서해지구 군통신선을 통해 회신할 것에 대비해 “항상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쪽이 끝내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통일부 등과 대응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북한이 나흘째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이날치 개인 명의 ‘정세론 해설’에서 문재인 정부의 남북 관계 개선 시도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온 민족의 대단결에 통일이 있다’는 제목의 이 논평은 “남조선 당국이 상대방을 공공연히 적대시하고 대결할 기도를 드러내면서 그 무슨 관계 개선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여론 기만 행위라고밖에 달리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15일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을 조목조목 비판하면서도, 새 정부의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 이행’ 의지를 평가한 것과는 거리가 있다. 북한이 대화의 여지를 남긴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았던 직전 논평과 달리 이번에는 문재인 정부의 태도 변화를 강하게 압박하는 모양새다.
신문은 “지금 북남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단결이 아니라 대결의 극단적 상황에 처해 있다”며 “대결과 적대의 악폐를 청산하는 것은 북과 남의 화해와 단합, 민족대단결의 넓은 길을 열어나가기 위한 선결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현 남조선당국은 민족자주의 원칙에서 북남관계를 개선해나가기 위한 우리의 선의와 노력은 외면하고 외세와의 동맹과 대북 압박 공조의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며 “동족을 적대시하며 외세와 야합하여 대결을 추구한다면 언제 가도 북과 남의 화해와 단합을 이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