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머리발언을 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5월 대선에서 승리한 뒤 6월 고참 당직자들에게 ‘정부기관 파견근무’ 희망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자, 야권이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논공행상’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여당은 “소수가 독점하는 정무직을 두루 개방하려던 것으로 공공기관 낙하산 비리와 차원이 다르다”고 해명했으나 야당은 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25일 민주당 당직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민주당 총무조정국은 지난 6월26일 부국장급 이상 당직자들에게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보내 “당에서는 파견근무 시행을 위해 희망 당직자의 수요를 파악하고자 한다. 정부기관 등으로의 파견근무를 희망하시는 당직자께서는 지원 신청을 해주길 바란다”고 공지했다. 이 메시지에서 민주당은 파견근무지는 ‘정부기관’으로, 근무기간은 ‘1년’으로 명시했다. 특히 “지원사항은 1~3순위로 구분하며, 희망기관/희망부서/희망직급을 작성해달라”고 덧붙였다. 이 문자 메시지를 두고 이날 <문화일보> 등이 ‘공공기관이나 정부 산하기관 이직 희망자를 조사한 것은 전리품 나누기’라고 보도하면서 논란이 촉발됐다.
당장 자유한국당은 “파렴치한 낙하산 인사 문자”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쉬쉬하면서 저질러도 안 되는 일을 이렇게 공개적으로 저지른다는 것은 정부여당이 얼마나 기고만장해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자기들 밥그릇을 만들기 위해 공공기관장과 임원의 신상까지 털어가며 사퇴 작업을 한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도 “야당일 때는 정부여당의 ‘낙하산 인사’ 운운하면서 극렬 반대하고 자신들이 집권하니까 ‘국정철학’ 운운하면서 마치 옛날 고대 때 전쟁의 전리품 나누듯이 공개적으로 희망자를 받는다면 어느 국민들이 수긍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에 대해 “소수가 알음알음 찾아가는 청와대와 정부 부처의 정무직을 당직자 다수에게 개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해명했다. 공공기관 취업과는 무관한 수요조사라는 뜻이다.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전화통화에서 “정권 초기에 장관 정책보좌관 등 정무직으로 열린 자리에 의원 보좌관들이 주로 들어가는데, 당직자들에게도 두루 기회를 주려고 취한 조처로 당헌·당규 상에도 ‘당은 국정운영능력·도덕성 등을 고려하여 국정운영에 필요한 인사를 추천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며 “몇몇이 희망원을 내긴 했으나 실제 파견으로 이어지진 않았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