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최고위원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드러난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반부패비서관실 특별감찰반원들의 비위가 “처세를 잘못한 거지 크게 뇌물을 받아먹은 사안이 아니다”라며 조국 민정수석이 책임질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여당 내부에서도 분위기 쇄신을 위해 조국 수석을 포함한 청와대 참모진 교체 주문이 나오지만 여당 대표가 ‘책임론’에 확실히 선을 그은 것이다.
이 대표는 3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특감반원이) 뇌물 받아먹은 사안이 아니다. (관리자 책임의) 경중을 가려야 한다”며 조 수석을 감쌌고 경질론에 대해서는 “야당의 정치적 행위”라고 일축했다. 이 대표는 이어 “(검찰에서) 파견 나온 사람인데 여러가지 사적인 이해관계로 청와대 신분을 활용한 사례가 있어서 감찰 과정에서 문제가 지적돼 신속하게 처리한 과정이 있었다”며 민정수석실을 두둔했다. 경찰청에 지인이 관련된 뇌물사건 수사 상황을 캐물은 김아무개 특감반원이 본인이 감찰하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감사관으로 공모했지만 이를 민정수석실이 제지했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이 대표는 “사안 크기만큼 관리자가 책임을 져야 되는데 그렇게 큰 사안은 아니다. 조 수석은 민정수석이지만 그 사안에 관해서는 연계가 있거나 그러진 않다”며 거듭 엄호에 나섰다. 이 대표는 “우리 당내에도 선거법 위반 불미스러운 일이 보도되는데 그때마다 제가 매번 책임을 져야 하나. 경중을 가려야 한다. 경중을”이라며 조 수석이 책임질 일이 아니라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 대표 취임 뒤 하락세인 민주당 지지율에 대해선 “그동안 너무 (지지율이) 고공했다는 생각이 든다”며 “민생경제 어려운 게 가장 큰 요인인 것 같고 최근 있었던 일련의 논란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 대표는 “이재명 지사 논란은 어떤 건 사실같고 어떤 건 아닌 것 같고 굉장히 혼란스럽다”고 했다. 이 대표는 “문준용씨 건은 이미 허위로 다 밝혀진 사안인데 그걸 재론하는 것처럼 언론이 보도하고 계속 거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이 지사 쪽에서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씨의 채용 비리 진위를 가려야 한다고 주장해 다시 불거진 논란을 ‘언론 탓’으로 돌렸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발언으로 ‘선거제도 개혁 퇴행’ 논란을 불렀던 이 대표는 “(국회의원) 비용 총액을 범위 내에서 한다고 해도 절반 이상의 반대가 나오는데 국민 의사를 무시하고 정치를 어떻게 하겠냐”며 의원정수 확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지역구 의석수를 줄이면서 갈 수밖에 없는데 농촌 지역구가 많이 줄어들면 농촌을 소외한다는 의견이 의원들 사이에서 나올 것”이라며 “정개특위에서 그런 점을 잘 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