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아리랑 위성에 숨겨진 비논리.비과학

등록 2006-07-30 11:16

아리랑2호
아리랑2호
발사시기 1호-2호-5호-3호 순..'아리랑 4'호는 없어
항공우주연구원 원장, 발사성공 기원 40일간 수염 안깎아
우리나라 다목적 실용위성 2호(아리랑 2호)가 28일 발사돼 지구상공 685㎞ 태양동기궤도에 정확히 안착했다. 우주과학은 이 처럼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무결점 과학'으로 불린다.

하지만 우리나라 아리랑 위성 발사계획을 보면 몇 가지 비논리적. 비과학적 요소들이 발견돼 흥미를 끈다.

우선 이번 아리랑 2호에 이어 발사되는 위성은 아리랑 3호가 아니라 아리랑 5호라는 점이다.

과학기술부가 1996년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을 마련한 뒤 몇 차례 수정을 거쳐 2005년 5월 아리랑 위성의 발사시기를 최종 확정하면서 3호와 5호의 발사시기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아리랑 위성 발사시기는 1호(1999년)-2호(2006년)-5호(2008년)-3호(2009년) 순이 됐다. 위성 이름만 보면 발사순서가 헷갈린다.

아리랑 1~3호는 모두 광학카메라(MSC)를 탑재한 것으로, 순서에 따라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1호는 6m급, 2호는 1m급 MSC를 탑재하고 있고 3호는 70㎝급 MSC를 탑재할 예정이다.

그러나 아리랑 5호는 1~3호의 MSC와는 성격이 다른 '합성 개구면 레이더(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장착, 구름이 끼거나 어두운 밤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한반도를 관측할 수 있다.

1m급 고해상도의 MSC를 탑재한 2호가 운용되는 상황에서 3호보다는 5호 발사가 더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3호와 5호의 발사 순서를 바꿨다는 게 과기부의 설명이다.

아리랑 위성 가운데 3호와 5호 사이에 4호가 없다는 점도 의아한 대목이다.

이기성 과기부 우주개발과장은 "아리랑 1호의 수명이 당초 3년에서 6년으로 길어지고 2호의 발사시기가 1년 늦어지면서 4호의 필요성이 없어져 4호를 발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기부 다른 관계자는 "아리랑 4호를 발사하지 않을 경우 5호의 명칭을 4호로 변경하자는 논의가 있었는데 과학자들 사이에 `죽을 사(死)'를 연상시키는 `4'자를 굳이 쓸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제기돼 4호를 건너뛰게 된 것"이라고 전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통신업체인 KT도 상업용 통신위성인 무궁화 위성 1,2,3호에 이어 8월 중 4호를 건너 뛰고 5호를 발사한다.

KT 관계자는 "실패 가능성이 상존하는 인공위성 발사의 특성상 네 번째 무궁화 위성의 명칭을 무궁화 4호가 아닌 무궁화 5호로 명명했다"고 말했다. 역시 숫자 '4'가 죽을 사(死)자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백홍렬 원장은 아리랑 2호가 발사를 위해 러시아로 이동하는 6월20일 "발사 성공을 위해 40일 기원에 들어간다"며 지금까지 수염을 깎지 않고 있다.

우주과학이 아무리 무결점 과학이라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유한한 능력의 소유자인 인간의 과학이라는 점을 아리랑 위성은 보여주고 있다.

이정내 기자 jn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