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전용근 교수팀
암세포의 죽음을 유도하는 새 유전자가 발견됐다.
정용근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호준 박사 연구팀은 21일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에이케이2’(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라는 유전자가 세포 죽음의 신호전달 경로를 매개하는 구실을 하며 ‘사멸하지 않는 세포’인 암세포의 죽음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상 세포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의 운명’처럼 정해진 세포 죽음의 신호전달 경로에 따라 스스로 죽음을 맞이하지만 암세포는 이런 죽음의 신호전달 경로가 어떤 이유로 중간에 끊어져 죽지 않고 증식만 하는 비정상 세포이기 때문에, 그동안 암세포의 망가진 세포 죽음 경로를 규명하고 복구해 암을 치료하려는 여러 연구들이 진행돼왔다.
연구팀은 이번에 새로 찾아낸 에이케이2 유전자의 기능이 떨어지면 세포 죽음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실제로 이미 진행된 간암세포들에선 정상 기능을 해야 할 이 유전자의 세포 죽음 경로가 망가져 있음을 확인했다. 또 이 유전자가 제 기능을 하면 간암세포가 항암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멸됨을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의 21일치 인터넷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가 에이케이2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이나 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해 초기 암 발생을 억제하거나 암을 치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