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두 마리의 복제 고양이와 맨 오른쪽 일반 고양이를 가시광선(사진 a)과 자외선(사진 b)에서 찍은 사진. 자외선 사진에서 복제 고양이는 빨간빛을 내지만 일반 고양이는 보이지 않는다. 공일근 교수 제공
경상대·순천대 연구팀 공동
“인간 질병유전자 연구 활용”
“인간 질병유전자 연구 활용”
자외선을 받으면 빨간 형광빛을 내는 복제 고양이가 국내에서 태어났다.
경상대 동물복제연구팀과 순천대 발생학연구팀은 12일 유전자 조작과 체세포 복제를 이용해 빨간 형광빛을 내는 복제 고양이를 세계 처음으로 생산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해 말 흰색 터키시앙골라 고양이의 피부세포에 형광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넣은 뒤, 핵을 뺀 난자에다 이 세포의 핵을 넣는 방식으로 복제 수정란을 만들었다. 이어 지난 1월30일과 2월20일 복제 고양이 세 마리가 태어났으나 한 마리는 사산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두 마리는 현재 몸무게 3㎏, 3.5㎏ 정도로 자랐다.
형광빛 복제 고양이의 탄생은 형광 유전자말고 다른 유전자들을 집어넣어도 마찬가지로 복제 고양이를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연구책임자인 공일근 경상대 교수는 “형질전환 복제 고양이의 생산기술을 정립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형광 유전자 대신에 인간 질환 유전자들을 집어넣은 복제 고양이를 만들어 귀중한 신약개발 연구용 동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복제 고양이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형광단백질 덕분에 줄기세포의 분화과정을 쉽게 추적할 수 있어 이 분야 연구에도 기여하리라고 기대했다.
한편, 2004년엔 대구 가톨릭대 연구팀이 유전자 조작으로 녹색 형광빛을 띠는 닭을 생산한 바 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