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수경(사진)
강수경 교수팀 국제학술지 게재
이른바 ‘세포 분화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역분화 반응을 일으켜 사람 지방세포를 치료용 줄기세포로 만드는 새로운 기법이 국내 연구팀에서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 지원을 받는 세포응용연구사업단(단장 김동욱)은 27일 “강수경(사진) 부산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바이러스나 유전자를 쓰지 않고 화합물질만을 써서 사람의 지방세포를 줄기세포의 특성을 지닌 세포로 역분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만든 역분화 세포는 다시 신경세포와 인슐린 생성 세포 등으로 분화됐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템 셀>의 27일치 인터넷판에 발표됐다.
다 자란 성체세포를 줄기세포로 역분화하는 기술은 일본 야마나카 신야 교수 등이 지난해 바이러스를 통해 피부세포에다 특정 유전자들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처음 개발했으나, 바이러스와 유전자를 쓴 탓에 안전성 논란을 극복하진 못했다. 이번 연구에선 저분자 화합물 ‘셀레니움’을 적절한 농도로 처리해 역분화를 유도하는 방식을 써서 안전성 문제를 개선했다.
연구팀은 “지금은 역분화 세포를 척추 손상 부위에 넣어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