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들은 거대강입자가속기(LHC)의 양성자 충돌 실험 때 원자 크기의 1억분의 1보다 작은 미니 블랙홀이 생성될 수 있으며 순식간에 증발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림은 블랙홀의 상상도. <사이언스> 제공
‘빅뱅 머신’ LHC의 도전
우주의 수수게끼를 푼다3
우주의 수수게끼를 푼다3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나 강해 아무것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을 말한다. 천문학에서 블랙홀은 별이 거대 중력 때문에 수축할 때 만들어진다고 보는데, 실제 블랙홀 후보가 되는 여러 천체들이 100개 넘게 관측된 바 있다. 물리학자들은 곧 가동될 유럽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통해 원자 크기의 1억분의 1보다 작은 ‘미니 블랙홀’이 지구상에서 생성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강입자가속기에선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가 거의 빛의 속도로 가속하다가 반대 방향으로 똑같이 가속되어 날아오는 다른 양성자와 충돌하는데, 이때 양성자를 이루고 있는 소립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이 충분히 강해지면 블랙홀이 만들어질 수 있다. 얼마나 ‘충분히’ 강해져야 할까? 기존 이론에 따르면, 강한 중력을 만들기 위해선 이른바 ‘플랑크 에너지’라 하는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예측된다. 그 에너지는 양성자 질량의 1억배의 1억배의 1천배(10의 19승)에 이르는 엄청난 에너지다. 그런데 4차원 시공간에 더해 여분 차원이 존재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여분 차원이 존재한다면(<한겨레> 7월24일 15면), 중력은 본질적으로 고차원의 속성을 지니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가 관측하는 중력은 진짜 중력의 전체가 아니라 여분 차원의 방향으로 빠져나가고 남아 ‘약해진 중력’일 뿐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만약 이번 가속기 실험에서 극미세계에서의 중력의 본래 세기가 그대로 드러난다면? 기존의 예측과 달리 비교적 낮은 에너지로도 블랙홀이 충분히 생성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최근 제기돼 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큰 여분 차원 이론’이나 ‘크게 굽어진 (warped) 여분 차원 이론’에 따르면, 강한 중력을 드러내는 에너지의 규모는 양성자 질량의 대략 1천배에 해당한다. 강입자가속기가 도달하는 에너지가 양성자 질량의 대략 1만4천배에 이른다는 점을 생각하면, 충분히 블랙홀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박성찬 박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박성찬 박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