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택(사진)
오우택 교수팀 ‘아녹타민1’ 명명
오늘 ‘네이처’ 온라인판서 발표
오늘 ‘네이처’ 온라인판서 발표
동물 몸을 감싸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침, 땀, 눈물 같은 수분이 분비되려면 생화학 물질인 염소 이온이 세포 안팎을 쉽게 드나들며 작용해야 한다. 이런 염소 이온의 세포막 통로가 새로 발견됐다.
오우택(사진) 서울대 약학과 교수 연구팀은 24일 “세포에서 수분과 전해질을 분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염소 이온이 들락거리는 통로가 되는 세포막 단백질과 유전자를 처음 발견해 ‘아녹타민1’이라고 명명했다”고 밝혔다. 세포는 나트륨·칼륨·칼슘·염소 이온 같은 여러 생화학 물질들이 세포막을 드나들어야 생존하며 기능을 하는데, 그동안 수분 분비에 관여하는 염소 이온 통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25일치 온라인판에 발표된다.
연구팀은 생물정보학 기법을 통해 이 단백질을 찾아냈으며, 실험에서 이 단백질의 유전자를 억제하면 침 분비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해 이 단백질이 바로 염소 이온 통로임을 입증했다.
침이 분비되는 과정도 규명됐다. 염소 이온이 침샘세포 안에 들어가 농도가 높아지면 아녹타민1을 통해 침샘관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삼투압을 맞추기 위해 수분도 침샘관 쪽으로 함께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염소 이온 통로가 제기능을 하지 못해 생기는 낭성섬유증, 신장 질환 같은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