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국내 연구진 나란히 ‘네이처’에 논문 게재

등록 2013-01-31 08:36

왼쪽부터 김성웅, 황선욱 교수.
왼쪽부터 김성웅, 황선욱 교수.
성균관대 김성웅 연구팀, 세계최초 ‘2차원 전자화물’ 개발
고려대 황선욱 교수팀도 짠맛수용체 ‘티엠시-1’ 정체 밝혀내
국내 연구진의 연구성과가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나란히 소개됐다.

김성웅(왼쪽)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30일 일본 도쿄공업대 연구팀과 함께 세계 최초로 음이온 구실을 하는 전자로만 이뤄진 층(레이어)을 포함하면서 형성된 ‘2차원 전자화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전자화물은 2차원 탄소원자층인 그래핀과 함께 ‘제2의 꿈의 신소재’로 양자 물질·물성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 논문은 이날(현지시각) <네이처> 온라인판에 실렸다.

황선욱(오른쪽) 고려대 의대 교수 연구팀도 이날 과도한 소금섭취를 막아 나트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결정적 구실을 하는 짠맛수용체 단백질 ‘티엠시-1’(TMC-1)의 정체를 밝혀내 논문이 <네이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는 고농도의 짠맛을 불쾌한 맛으로 인지해 회피하도록 함으로써 소금 농도가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데 이 단백질이 관여하는 것을 밝혀낸 것으로, 향후 미각과 통각 등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근혜, 님 잘들어~” ‘용감한 녀석들’ 방심위 행정지도
인수위 관계자 “언제든 전화하라지만…박근혜 두렵다”
동탄주민들 분통 “삼성, 사망사고 없었다면 그냥 넘겼을 것”
175만년 전 호모에렉투스는 ‘손도끼 장인’
[화보] 마지막 도전 나로호, 날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