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룡(59·사진)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이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 예측 인물로 선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25일 “해마다 ‘올해의 노벨상 수상 예측 인물’을 발표하는 톰슨로이터가 이날 발표한 ‘2014년 노벨 화학상 수상 예측 명단’ 8명 가운데 유 단장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한국 연구자가 이 명단에 이름을 올린 건 처음이다.
톰슨로이터는 세계적 학술정보 서비스 기업으로 자체 보유한 연구인용 데이터베이스인 ‘웹 오브 사이언스’ 자료를 분석해 2002년부터 유력한 노벨상 후보자를 예측·발표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과학 분야에서 156명을 예측해 이 가운데 25명(16%)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다.
기초과학연구원의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 단장과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화학과 특훈교수를 겸직하고 있는 유 단장은 톰슨로이터가 화학 분야에서 선정한 3개 주제의 하나인 ‘기능성 메조다공성물질 디자인’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유 단장은 기능성 메조다공성탄소(CMK)를 처음 만드는 등 메조나노다공성 탄소물질 및 제올라이트 설계 분야의 개척자로 불린다. 지름 2~5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구멍으로 이뤄진 메조다공성물질은 고효율의 친환경 촉매로 화학·의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유룡 단장은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노벨상 수상 예측 명단에도 오르지 못한다는 비판을 더는 받지 않아도 된다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