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오늘 밤 올해 첫 유성우 ‘사분의자리’ 쏟아진다

등록 2017-01-03 17:24수정 2017-01-03 17:24

유성우. 한겨레 곽윤섭 기자
유성우. 한겨레 곽윤섭 기자
천문연 “사방이 탁 트인 곳에서 맨눈으로 관측하세요”
오늘 밤 올해 첫 별똥별 비가 쏟아진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꼽히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3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다.

유성우(별똥별 비)는 혜성이나 소행성 등이 우주공간에 남긴 먼지 부스러기가 지구 대기권과 충돌해 불타면서 별똥별이 비처럼 내처럼 내리는 현상이다.

정점을 찍을 때 이상적인 조건에서 시간당 최대 120개 별똥별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극대기인 이날 오후 11시부터 새벽 2시까지에는 달도 지고 없어 유성을 관측하기 좋다.

관측 장소는 도시의 불빛에서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이 좋고 주위에 산이나 높은 건물이 없이 사방이 트여 있는 곳이 적합하다.

유성우의 복사점(유성의 궤적이 시작되는 지점)이 아닌, 복사점을 중심으로 퍼져 나가는 넓은 하늘을 한눈에 봐야 한다.

시야를 좁게 만드는 망원경보다는 오히려 맨눈이 관측하기에 좋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복사점이 지금은 없어진 별자리인 '사분의(四分儀) 자리'에 있어 사분의자리 유성우라 이름 붙여졌으며, 용자리 유성우라고도 불린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