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1.19 12:00 수정 : 2019.11.19 15:46

임진왜란 때 72㎏의 대형폭탄인 ‘진천뢰’가 왜군을 무찌르는 데 큰 구실을 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은 해주대첩도. <한겨레> 자료사진

고화기전문가 채연석 교수 연구 발표
비격진천뢰보다 5배 큰 폭발력 지녀
지름 33㎝, 살상용 쇳조각 30개 들어
“왜군 토벌·격퇴하는 데 큰 구실”

임진왜란 때 72㎏의 대형폭탄인 ‘진천뢰’가 왜군을 무찌르는 데 큰 구실을 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은 해주대첩도. <한겨레> 자료사진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격퇴하는 데 ‘비격진천뢰’보다 5배 폭발력이 큰 대형폭탄 ‘진천뢰’가 큰 구실을 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채연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초빙교수는 19일 “임진왜란 때 육상 전투에서 사용된 폭탄인 ‘진천뢰’는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보다 5배 이상의 살상력을 갖춘 대형폭탄으로 왜군을 토벌·격퇴하는 데 핵심적인 구실을 한 첨단 무기였다”고 밝혔다. 채 교수(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는 신기전과 거북선, 각종 화포 등을 연구 복원한 고화기전문가로, 진천뢰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전북 고창읍에서 개최된 ‘비격진천뢰 보존 및 활용사업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채연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가 복원한 ‘진천뢰’ 설계도. 채연석 교수 제공

채 교수는 1635년 발간된 ‘화포식언해’에 “진천뢰는 대완구로 발사하고 비격진천뢰는 중완구를 이용했다”고 돼 있고, 1694년 편찬된 강화도 지리지 ‘강도지’, 영조 때부터 기록한 ‘일성록’ 등에도 진천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는 점을 들어 임진왜란 때 진천뢰가 사용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화포식언해’에는 “진천뢰는 철로 주조해 둥글게 몸통을 만드는데 무게가 113근(67.8㎏), 철 뚜껑이 10냥(375g), 폭발을 지연시키는 주격철통 무게 1근8냥(900g)으로, 화약 5근(3㎏), 살상용 쇳조각인 능철(마름쇠) 30개를 넣는다”고 돼 있어 전체 무게가 72㎏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채 교수는 “기록에는 진천뢰가 비격진천뢰보다 무게는 5.6배 더 무거운데다 화약도 5배 더 많이 넣고 능철도 30개를 넣어 폭발력과 살상력이 5배 이상 클 것”이라며 “이는 진천뢰가 왜군을 토벌하고 격퇴하는 데 큰 구실을 한 무기였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세종 때의 총통완구 복원 모습(왼쪽 사진)을 바탕으로 채연석 교수가 복원한 대완구 설계도. 채연석 교수 제공

실제로 진주박물관에 보관돼 있는 임진왜란 당시의 ‘항병일기’에는 “왜적을 토벌하는 계책으로 진천뢰보다 더 나은 것이 없었다”(1593년 2월9일치), “진천뢰는 효과가 있어 왜적의 간담을 벌써 서늘하게 하니 지극히 기쁘지만, 안동 진영에는 3개뿐인데다 화약이 바닥나 수송할 수가 없다”(1953년 1월16일치)는 내용이 실려 있다.

채 교수는 “중완구로 발사되던 비격진천뢰와 달리 진천뢰는 이보다 훨씬 큰 대완구로 발사됐지만 실물이 남아 있지 않다”며 세종 때의 총통완구를 바탕으로 설계한 대완구 모양을 공개했다. 그는 또 진천뢰가 대완구 속에서 폭발할 경우 피해가 크기에 안전한 곳에 숨어 긴 점화선을 이용해 발사하거나 주화(신기전)을 이용해 점화·발사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1815년 발간된 <융원필비>에는 주화를 이용해 점화하는 ‘매화법’이 소개돼 있다.

채 교수는 “임진왜란 당시 해상 전투에서는 거북선과 판옥선의 대형함포를 이용해 왜선을 파괴·격침시켰듯이 육상 전투에서는 진천뢰와 비격진천뢰 등의 폭탄으로 왜적을 물리쳤음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