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염도 높은 혹독한 환경 서식 미생물 발견

등록 2005-01-07 16:12수정 2005-01-07 16:12

지중해 바닥에 있는 극도로 염도가 높은 고대 염수층에 원시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6일자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가 보도했다.

이번 발견은 고온과 혹한,유황천 등 혹독한 환경에서 발견된 생물들과 함께 생명체가 매우 불리한 환경에서도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외계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사이언스는 지적했다.

네덜란드 그로닝엔대학의 파울 반 데르 윌렌 연구팀은 동부 지중해저의 600만년된 염호의 잔존물인 염수층에서 산소도 없고 해양에서 발견된 것으로는 최고도의 염화 마그네슘이 농축돼 있는 데도 미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생명체들은 광범위한 종류의 고대 박테리아 변종들이며 고세균으로 알려진박테리아형 미생물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생명체 대사작용이 지구상의 극도로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나아가 외계 생명체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