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세포까지 보이는 MRI 조영제 세계 첫 ‘탄생’

등록 2007-03-18 20:36

산화망간 나노입자 MRI 조영제를 이용해 촬영한 실험용 쥐의 뇌 영상(가운데). 보통 MRI(왼쪽) 영상보다 선명해, 해부도(오른쪽)와 같은 수준을 보여준다.
산화망간 나노입자 MRI 조영제를 이용해 촬영한 실험용 쥐의 뇌 영상(가운데). 보통 MRI(왼쪽) 영상보다 선명해, 해부도(오른쪽)와 같은 수준을 보여준다.
나노공학자 현택환·영상의학자 이정희 교수 공동개발

현택환(43) 서울대 공대 교수는 3년 전 모양과 크기가 고른 분자 수준의 나노입자들을 값싸게 대량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논문이 과학저널 〈네이처 머티리얼〉에 실려 지금까지 다른 에스시아이(SCI·과학논문인용지수)급 논문에 106회나 인용됐다. 지난해에는 에스시아이 관리 회사인 톰슨이 선정하는 ‘뉴 핫 페이퍼’에 뽑히기도 했다.

현 교수는 자신의 기술로 만든 나노입자를 이용해 자기공명영상(MRI)의 새로운 조영제 개발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국내 굴지의 의과대학에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세 차례나 모임을 했음에도 상대의 반응은 미적지근했다.

이런 차에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원 출신인 이정희(45) 성대의대 교수의 ‘망간 이온을 이용한 조영증강 엠아르아이’ 관련 발표를 보고 현 교수는 무릎을 쳤다. 그는 포럼 뒤 이 교수를 찾아가 명함을 건넸지만, 이 교수는 ‘유명한’ 그를 몰라보는 듯했다. 현 교수는 “공동연구는 이 교수의 남편인 이명균 서울대 천문학과 교수가 자신의 테니스 파트너인 나를 ‘괜찮은 친구’로 추천하면서 성사됐다”고 말했다. 사회에서는 같은 이공계로 분류하지만, 철학과 수학 사이보다 거리가 먼 공학과 의학의 만남은 이렇게 시작돼 과학·의학계가 주목할 연구 성과를 낳았다.

현 교수 연구팀은 18일 “기존 영상기술과 조영제로는 볼 수 없었던 뇌 조직을 살아 있는 분자-세포 차원에서 해부를 한 듯이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MRI 조영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병원 영상의학과에서 쓰는 조영제는 ‘혈뇌장벽’이라는 장애물 때문에 뇌 조직을 찍을 수 없었다. 과학자들은 최근 분자-세포 수준의 영상을 얻기 위해 나노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조영제를 개발했지만, 영상이 어두워 내출혈 등 다른 병리현상에 의한 영상과 구분이 어렵거나 동물실험에서 심장마비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현 교수팀이 제조한 산화망간 나노입자를 이용해 세포 안에 흡수가 잘 되고, 독성이 없으며, 표면에 약제 등을 부착할 수 있는 성질의 새 MRI 조영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이 조영제를 쥐의 정맥에 주사한 뒤 MRI로 뇌, 간, 신장, 척추 등을 촬영하자 해부를 통해 만든 것처럼 선명한 영상을 얻었다. 또 유방암세포 특이 항체(허셉틴)를 결합시킨 조영제를, 뇌에 유방암이 전이된 쥐에 주입해 0.7㎜ 크기의 암세포까지 찾아낼 수 있었다.

현 교수는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간질처럼 혈뇌장벽 손상 없이 진행돼 기존 방식으로는 영상을 얻기가 어려웠던 질환의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물론 장기 독성 여부 등 후속 연구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논문은 세계 권위지인 독일화학회의 〈안게반테 케미〉 14일치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5월호 학회지 표지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이근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