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세진 교수
카이스트 권세진·심현철 교수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는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사진)·심현철 교수팀이 소형 무인비행기 동력원인 2차 전지보다 10배 이상 오래가는 연료전지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권·심 교수팀이 개발한 연료전지는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등을 이용한 액상 수소화물에서 순도가 높은 수소를 추출해 연료전지 전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소음이 없고 기존 2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를 10배 이상 높인 것이 특징이다.
권 교수팀은 개발한 연료전지를 무게 2kg(연료전지시스템 750g 포함)의 소형 무인비행기에 장착해 시험했더니 500g의 연료로 1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비행해 기존 전지를 사용하는 무인비행기의 항속시간(40~60분)을 크게 앞질렀다고 덧붙였다.
권세진 교수는 “이번 개발로 소형 무인비행기의 연료 재공급 및 항속시간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됐다“며 “무인비행기는 물론 로봇의 전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연료전지는 차세대 동력원으로 미국 등 세계 각국이 감시정찰 등을 목적으로 개발한 소형 무인비행기 항속거리 향상 등을 위해 개발에 나섰으나 고압의 수소가스를 저장해 사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실패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사진 카이스트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