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숙(44)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 이현숙 교수팀 “암 억제인자가 염색체 이상 불러”
이현숙(44·사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4일 유방암 억제인자의 하나인 ‘비아르시에이(BRCA)2’ 유전자가 돌연변이가 돼 제구실을 못하면 염색체 불안정성을 일으키고 이로 말미암아 염색체 숫자에 이상을 일으켜 결국 암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했다고 밝혔다.
가족력이 있는 유방암 환자의 3분의 1은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하고, 췌장암·남성 유방암·난소암 등도 이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아르시에이2’는 염색체 분리를 막는 세포분열 체크포인트를 조절하는데,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염색체 분리조절 메커니즘이 잘못돼 염색체 숫자에 이상이 생겨 유전정보가 대규모로 빠르게 변형돼 암을 유발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실험, 환자샘플 등 다양한 방법으로 ‘비아르시에이2’가 세포분열 조절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의학 분야 유명저널인 <셀>의 자매지 <디벨로프멘털 셀> 14일치(현지시각)에 게재됐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장남 이맹희가 동생 이건희에 밀린 사연은…
■ 조중동 출신 ‘MB의 남자들’ 몰락한 까닭은
■ “동아대 한국사서 근현대사 삭제, 뉴라이트 쪽 교수가 요구”
■ “민주당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지만…” 남 텃밭의 괴로움
■ 재벌 총수 사전에 실형은 없다
■ 장남 이맹희가 동생 이건희에 밀린 사연은…
■ 조중동 출신 ‘MB의 남자들’ 몰락한 까닭은
■ “동아대 한국사서 근현대사 삭제, 뉴라이트 쪽 교수가 요구”
■ “민주당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지만…” 남 텃밭의 괴로움
■ 재벌 총수 사전에 실형은 없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