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 서울 풀뿌리 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와 경기환경보전공동행동 등 시민환경단체 회원들이 25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수중보 남단 광장에서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을 위협하는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수도권 시민단체 “남한강 보 건설하면 수질 악화” 공동 회견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해 수도권 시민환경단체들이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이 위협받고 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서울 풀뿌리 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와 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 경기환경보전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25일 오전 서울 잠실수중보 남단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대강 사업이 남한강에서 본격화되면 보(댐) 건설에 따른 수질악화와 오염 퇴적토 준설에 따른 추가 오염까지 예상된다”며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보 건설과 모래 준설이 핵심인 4대강 사업과 같은 내용으로 추진됐던 80년대 한강종합개발로 한강 서울구간의 수질이 크게 나빠지고 생태계도 황폐화됐다”며 “남한강 여주 구간에서 이뤄지는 3개의 보 건설과 5000만㎥의 모래 준설이 진행될 경우 수도권 주민 2300만명의 식수원 수질은 심각하게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날 이들 단체가 공개한 환경부의 ‘한강 서울구간의 2010년 2월 평균 수질’을 보면,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잠실보를 거치면서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실보를 거치기 전 4ppm 수준(팔당, 구리, 암사)이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잠실보를 거치면서 5.6ppm(뚝섬), 7ppm(노량진), 8.2ppm(행주), 9.2ppm(김포) 등으로 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숫자가 클수록 물이 더 오염됐다는 것을 뜻한다. 염형철 서울환경연합 사무처장은 “잠실보와 신곡보가 설치되면서 물 흐름이 정체된 것이 수질오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또 ‘음용수로 이용되는 취수장 인근에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공장이 들어선다면, 취수장과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주민이라도 공장 설립허가를 취소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지난 4월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4대강 사업에 따른 수질 오염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면, 물이용부담금 납부 거부 운동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