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은 대안인가
2009년 시뮬레이션 결과 엿새뒤 홋카이도로 확산
중국의 원자력발전소에 사고가 나 방사성 물질이 새나오면 단 사흘 만에 한반도 전체가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으로 예상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홍희덕 의원(민주노동당)이 28일 공개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동아시아 장거리 대기확산 모델의 연구개발 선행연구’를 보면, 한국과 중국, 일본이 사실상 원전 사고의 공동 위험권에 놓인 것으로 파악됐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이번 연구에서 2006년 3월1일 새벽부터 중국 중서부 인촨에서 방사성 요오드131이 12시간 동안 방출되는 시나리오를 만들어 대기확산 모델에 적용했다. 이 실험 결과, 요오드131은 편서풍을 타고 동서로 넓게 퍼지면서 한반도로 근접해 3일 오후 한반도 서해안에 상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흘 뒤 낮 12시부터는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이 방사성 물질에 덮이고 엿새 뒤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한반도와 일본 홋카이도까지 넓은 방사성 띠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상됐다.
반감기가 8일인 요오드131은 비교적 빨리 소멸되지만, 이번 연구를 보면 이틀 만에 한반도에 다가오기 때문에 대비가 필요하다. 전영신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장은 “황사의 경우를 비춰봐도 중국 중서부에서 한반도에 오는 데 대기상태에 따라 2~3일 걸린다”며 “원전이 몰려 있는 중국 동해안에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될 경우 반나절 만에 들어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요오드131 농도는 사고 발생 사흘째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원전의 12시간 평균 배출량인 5경 베크렐(㏃)이 중국에서 방출될 경우, 서울에서 1㎥당 1만2500베크렐이 검출되는 농도다. 일본 원전 사고 초기 도쿄의 대기중 요오드131 농도는 최고 3만 베크렐 안팎까지 올라간 적이 있다.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 원전이 속속 들어섬에 따라 한국과 중국, 일본, 미국이 공동으로 국제 방사능 재난 대비 태세를 갖추기 위해 2009년 시작됐다. 하지만 방사능 누출 국가라는 국가 이미지 실추를 염려한 중국이 2010년 빠져 공동 연구는 잠정 중단된 상태다.
동아시아는 2030년대 한국 38~40기, 중국 90기, 일본 69기 등 모두 197~199기가 들어서는 원전 밀집지대로 바뀌고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 원전 사고 발생에 대비한 국제 공조는 전무한 상태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주관하는 ‘국가원자력재난관리시스템’도 근거리(40㎞) 사고에 맞춰져 있어, 이웃나라의 사고 때 방사성 물질 경로 예측과 대피 매뉴얼 등이 없다.
홍희덕 의원은 “동아시아의 방사능 누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조체계가 시급하다”며 “장기적으로 핵위험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일본의 원자력 비중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사고·외고 ‘사회배려’ 전형, 부유층 자녀들 입학 통로로
■ 지식 수준 높은 한국 청소년, ‘이것’은 세계 꼴찌
■ ‘나는 가수다’ 최고의 무대로 사과하다
■ ‘한상률 자문료’ 일부 돈세탁 거쳤다
■ 이순신 대 박정희 싸움…현충사 금송 ‘법정으로’
■ 가축 매몰지 ‘지하수 오염’ 첫 확인
■ ‘동남권 신공항’ 대선공약 백지화…MB ‘신뢰의 위기’
중국 원전 사고 사흘 뒤 확산 예측 모델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사고·외고 ‘사회배려’ 전형, 부유층 자녀들 입학 통로로
■ 지식 수준 높은 한국 청소년, ‘이것’은 세계 꼴찌
■ ‘나는 가수다’ 최고의 무대로 사과하다
■ ‘한상률 자문료’ 일부 돈세탁 거쳤다
■ 이순신 대 박정희 싸움…현충사 금송 ‘법정으로’
■ 가축 매몰지 ‘지하수 오염’ 첫 확인
■ ‘동남권 신공항’ 대선공약 백지화…MB ‘신뢰의 위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