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탈핵’위한 공동행동 선언
원자력발전소 밀집지대로 변하고 있는 동북아시아의 안전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시민·환경단체가 두 나라 정부에게 원전 확대 정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일본대지진·핵사고 피해 지원 및 핵발전 정책 전환 공동행동’(공동행동)은 일본 최대 반핵·환경단체인 원자력자료정보실과 함께 6일 서울 중구 정동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밝혔다.
한국과 일본의 두 단체는 이날 공동성명에서 “후쿠시마 핵재앙이 일어나게 된 데에는 ‘원자력 안전 신화’를 내세우며 54기의 핵발전소를 가동해 온 일본 정부와 원자력계에 책임이 있다”며 “이들은 핵발전소가 위험하다는 경고를 무시했고 안일한 대응과 사고를 축소하려는 태도로 핵재앙을 더욱 키웠다”고 말했다.
공동행동은 에너지정의행동과 환경운동연합 등 40여개 시민·환경단체와 민주당 등 야당이 정부에게 ‘원자력 르네상스’ 정책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만들어졌다. 이날 일본 쪽에서는 반 히데유키 원자력자료정보실 공동대표가 참석했다.
두 단체는 또한 최근 방사능으로 오염된 바닷물을 주변국과 협의 없이 배출한 것과 관련해 일본 정부에게 정확하고 자세한 방사능 오염정보를 제공하고, 일본 국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처도 취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중국, 한국, 일본이 위치한 동북아시아는 현재 건설중인 핵발전소의 52%가 몰려 있는 대표적인 핵발전 선호지역”이라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인 탈핵선언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동북아시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한국 21기 △일본 55기 △중국 13기 등 89기이다. 여기에 세 나라에서 108~110기가 건설 중이고 타당성 검토가 진행 중인 것까지 합치면 348~350기에 이르는 등 2020년대부터는 원전이 가장 밀집된 지대로 변한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