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물질 추가검출 우려한듯
한국 “토양·지하수 시료 추출”
한국 “토양·지하수 시료 추출”
고엽제 매립 의혹이 제기된 경북 왜관의 미군기지 ‘캠프 캐럴’에 대한 기지 내 매몰지 조사를 앞두고 주한미군이 ‘지하투과 레이더’(GPR) 방식을 고집해 논란이 일고 있다. 주한미군은 토양과 지하수에서 시료를 추출하는 ‘샘플링’ 방식을 택할 경우 다이옥신 외에도 벤젠, 페놀 등 다른 독성·발암물질이 검출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31일 “주한미군은 고엽제 매립 의혹이 제기된 지점에서 지하투과 레이더를 쏘는 것으로 조사를 매듭짓자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그런 조사로는 국민적 의혹을 해소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전했다”고 밝혔다. 지하투과 레이더 방식은 땅속에 레이더를 쏘아 이물질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유해물질이 든 드럼통의 유무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실제 토양·지하수의 오염 여부는 알 수 없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지난 환경분과위 회의에서 땅속을 시추한 뒤 소량의 토양·지하수 표본을 채취해 분석하는 샘플링 방식을 강력히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제안에 미군 쪽이 난색을 표하자 한국 쪽 위원들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서는 등 한때 긴장된 분위기도 조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 캐럴 민관공동조사단 관계자는 “미군이 정작 곤혹스러워하는 것은 다이옥신이 아니라 다른 독성물질의 검출”이라며 “토양·지하수를 떠서 검사하면 다른 독성물질 조사 결과도 함께 나온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캠프 캐럴에선 2004년 맹독성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이 먹는물 기준치의 30배 이상 검출됐다.
한·미 양국은 1일 환경분과위 회의를 열어 조사 방식을 결정한 뒤 2일 매몰지 조사에 들어간다. 일단 레이더 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샘플링 여부는 뒤로 미루자는 타협안을 미군 쪽이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