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독성물질 추정 6곳 중 3곳 조사 제외…‘오염 뇌관’ 방치

등록 2011-06-28 21:09수정 2011-06-28 23:01

캠프 캐럴 화학물질 매립·오염 추정지
캠프 캐럴 화학물질 매립·오염 추정지
캠프 캐럴 추가매립지 파문
사병숙소·소방서·HH구역
한·미 조사대상에 없어
디디티·다이옥신 등 검출
지하수 오염 주민피해 우려
미군 제공정보 신뢰 의문
기지 전체 조사 나서야
경북 칠곡군 왜관읍 미군기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을 밝히기 위한 한·미 공동조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기지 북동쪽 독신사병숙소 언덕(BEQ 힐)에서 ‘제3의 매립지’가 확인돼, 현재 조사중인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조사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캠프 캐럴에서 화학물질 매립이나 오염이 추정되는 곳은 대략 6곳이다.

지난달 퇴역 미군 스티브 하우스는 “캠프 캐럴 서쪽 헬기장에 축구장만한 구덩이를 파 고엽제 드럼통 250개를 묻었다”고 증언했다. 그의 인터뷰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한국 정부와 미군은 공동조사단을 꾸려 조사에 들어갔다. 양국은 조사 범위의 규모를 두고 실랑이를 벌이다 결국 헬기장과 인근 D구역 그리고 과거 화학물질 저장고였던 41구역을 조사하기로 합의했다.

그동안 공개된 미군 보고서를 참고하면, 41구역은 디디티(DDT)를 포함한 살충제·제초제·유기용제 등 각종 화학물질을 드럼통에 넣어 보관하던 곳이었다. 1976년에서 81년 사이에는 수차례 누출 사고가 일어나 흙 빛깔이 바뀌고 웅덩이가 목격되기도 했다.

1977~82년 미군은 41구역에 저장된 100여종의 화학물질을 옮겨와 D구역에 땅을 파고 묻었다. 다른 곳에서 나온 각종 화학폐기물도 수시로 이곳에 처분했다. 1982~83년 미군은 다시 땅을 파 40~60t을 기지 밖으로 반출했으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미군이 삼성물산에 의뢰해 작성한 2004년 환경오염조사 보고서를 보면, 두 구역의 오염 상태는 국내 미군기지를 통틀어 최악이다. 토양에 묻힌 화학물질은 지하수까지 확산돼, 맹독성 발암물질인 비소가 2420배,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1110배 검출됐다. 고엽제 성분인 다이옥신도 토양과 지하수에서 미량 검출됐다.

또다른 매립 의혹 지점은 기지 북동쪽 독신사병숙소 언덕과 소방서 주변이다. 전직 한국인 군무원 구자영씨가 드럼통 등을 묻었다고 지목했다. 독신사병숙소의 경우 미군이 1992년부터 네 차례나 조사를 실시해 가로 25m 세로 14m의 ‘화학물질 구덩이’와 클로로포름과 다이옥신 오염 사실을 확인됐다. 하지만 이 구덩이에 묻힌 화학물질이 다이옥신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소방서의 경우도 조사를 벌였는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야구장 근처에 있는 HH구역은 과거 고엽제가 저장됐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1992년 미 육군 공병단 보고서는 “베트남전쟁 기간 동안 고엽제가 HH구역에 저장됐다가 나중에 기지 밖으로 운반됐다는 확인되지 않은 기록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한·미 공동조사 대상에서 독신사병숙소와 소방소, HH구역은 빠져 있다. 한·미 합의에 따라 스티브 하우스의 증언 내용과 관련 있는 곳만 조사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당장 독신사병숙소의 구덩이에 드럼통이 계속 남아 있는지, 남았다면 어떤 물질이 들어 있는지 한국 쪽은 확인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캠프 캐럴에 디디티와 다이옥신 등 예방조처가 시급한 독성물질이 다수 존재한다는 점이다. 주변 주민들은 지하수를 식수와 생활용수로 써와 역학조사 필요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미군이 일부 공개한 환경오염정보도 신뢰성에 의문이 간다. 미군이 최근 공개한 삼성물산 보고서는 41구역 지하수에서 디디티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미군이 공개하지 않다가 이번에 드러난 ‘환경오염 치유를 위한 예비조사 보고서’에서는 고농도로 검출됐다.

미군은 캠프 캐럴의 구역별로 환경오염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기도 의정부·동두천시의 2사단이 분산 배치됨에 따라 캠프 캐럴에 군인·군속들이 들어와 재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오염조사 결과는 한국 쪽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정인철 녹색연합 평화행동국장은 “미군은 자신이 축적한 환경오염정보를 주민 건강을 위해 낱낱이 공개하고 한·미는 오염원과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따라 조사계획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