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정전사고로 가동이 중단된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가 4~11일에 걸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점검을 받는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번 안전점검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우려를 고려해, 객관적으로 국제 수준의 안전성을 검증받기 위해 한수원이 국제원자력기구에 요청해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한수원은 “미로슬라브 리파르 원자력시설안전국 과장을 비롯해 7개 나라 8명의 전문가들로 점검단이 구성됐다”며 “이들은 고리 1호기 정전사고의 원인인 비상디젤발전기와 전력계통의 안전성, 원자로 압력용기의 건전성,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안전성 강화 조처의 적절성 등을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번 안전점검에 대해 환경단체와 지역사회에선 재가동을 위한 요식 절차에 지나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국제원자력기구의 형식적 점검은 고리 1호기의 수명 연장을 위한 면죄부를 제공할 것”이라며 울산 전역에서 고리 1호기의 ‘폐로’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나섰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도 “안전점검이 아니라 즉각 가동중지와 폐쇄만이 수명을 다한 원전으로부터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한수원 내부적으로는 이미 ‘고리 1호기의 재가동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분석도 나돌고 있다.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기 위한 형식적인 절차로 국제원자력기구의 점검을 요청했다는 이야기다. 일본과 한국의 원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대 교수는 “국제원자력기구의 점검은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사실상 고리 1호기를 재가동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원전의 가동·폐쇄를 결정하는 권한은 대통령 직속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있다.
이승준 기자, 부산/최상원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주체사상탑·김일성 생가 방문…국민들 불안”
■ ‘통일의 꽃’ 임수경, ‘근본없는 탈북자 XX’ 막말 파문
■ 정몽준 “핵무기 보유 능력 갖춰야” 주장 논란
■ 미국 ‘미인계’에 걸려든 중국 스파이 체포
■ 세계유일 ‘성교육버스’ 탁트인 세상으로 부릉부릉
■ “박근혜 주체사상탑·김일성 생가 방문…국민들 불안”
■ ‘통일의 꽃’ 임수경, ‘근본없는 탈북자 XX’ 막말 파문
■ 정몽준 “핵무기 보유 능력 갖춰야” 주장 논란
■ 미국 ‘미인계’에 걸려든 중국 스파이 체포
■ 세계유일 ‘성교육버스’ 탁트인 세상으로 부릉부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