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감때 담합의혹 제기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4대강 1차 턴키공사에서 짬짜미(담합)를 한 건설사들을 제재한 데 이어 2차 턴키공사에 참여한 건설사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27일 공정위와 건설업체의 말을 종합하면, 공정위는 이날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삼환기업, 한라건설, 계룡건설 등 5개 건설사에 직원들을 보내 현장조사를 벌였다. 공정위는 건설사 관련부서 직원들의 개인용컴퓨터(PC) 자료까지 뒤진 것으로 전해졌다.
5개 건설사는 대부분 4대강 2차 턴키사업에 컨소시엄 주관사 등으로 참여했다. 보를 건설하는 1차 턴키공사와 달리, 2차 턴키공사는 하천환경 정비와 준설 공사가 주를 이루었다. 금강 1공구 사업은 계룡건설 컨소시엄, 낙동강 17공구는 한진중공업 컨소시엄, 낙동강 25공구는 삼환기업 컨소시엄이 낙찰받았다.
야당에서는 지난해 국정감사 때 4대강 2차 턴키공사도 짬짜미 의혹이 있다며 공정위 조사를 촉구했다. 공정위는 이에 앞서 지난해 4대강 1차 턴키공사 입찰과 관련해 19개 건설사의 담합을 적발해 111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대형 건설사들이 주도했던 4대강 1차 턴키공사와는 달리 중견 건설사들이 맡은 2차 턴키공사는 공사금액이 적어 담합을 할 이유가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4대강 사업은 공정위 조사와 별도로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도 점검하기로 해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국책사업이 범정부 차원에서 재조사를 받는 모습이다.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과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최근 4대강 사업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필요시 보완해 나갈 방침을 밝혔다.
곽정수 선임기자, 최종훈 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