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숲에서 발견된 장수하늘소 수컷
암컷 1마리 이후 8년만에
국내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됐던 천연기념물 218호 장수하늘소 수컷 1마리(사진)가 경기도 포천시 광릉숲에서 발견됐다고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20일 밝혔다. 희귀 곤충인 장수하늘소가 자연에서 발견된 것은 2006년 암컷 1마리 이후 8년 만이다. 국립수목원은 해마다 장수하늘소의 출현 시기인 7~9월 광릉숲을 집중적으로 조사해왔다.
장수하늘소는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에 속하며, 몸길이가 수컷 85~108㎜, 암컷 65~85㎜로 국내에 서식하는 곤충 가운데 가장 크다. 몸은 황갈색이나 흑갈색이고, 대부분 황색 잔털로 덮여 있다. 국내에서는 광릉숲에서만 볼 수 있으며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에 드물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에서 장수하늘소가 다시 발견된 것은 그동안 보전대책으로 숲 생태계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고, 주 서식처인 서어나무 군락이 잘 보전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립수목원 이봉우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장수하늘소가 멸종됐다고 추정하고 복원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견돼 학술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 장수하늘소의 정확한 서식 실태를 파악하고 보호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왼쪽이 암컷, 오른쪽이 수컷 장수하늘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