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숲 옆에 있는 삼표레미콘 공장이 버린 폐수에서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부유물질과 시멘트 성분이 검출됐다. 주민과 성동구의 공장 이전 요구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지난달 27일 성수동 삼표레미콘 공장의 폐수 무단 방류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 의뢰한 결과 수질오염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검사에서 배출허용 기준을 초과한 항목은 부유물질(SS)로, 기준치(1ℓ당 120mg)를 넘는 158mg이 검출됐다. 사업장 외부 하수구 맨홀 안에서 채취한 폐수에선 506mg의 부유물질이 검출돼 기준치의 4배를 넘었다.
중랑천 합류 지점의 폐수에선 96mg로 기준치 이내였지만, 구 관계자는 “평상시 중랑천 수질은 부유물질 농도가 16mg/ℓ 정도로 관리되는데 검사 결과는 이 수치의 6배를 넘었다”고 지적했다. 폐수 성분에서 시멘트 구성 요소인 칼슘과 규소, 알루미늄, 용해철이 검출돼 시멘트도 폐수에 섞어 버린 것으로 추측된다.
삼표레미콘은 “성동구가 채취한 폐수의 오염물질이 삼표 때문이라고 특정할 수 없다. 성동구의 행정ㆍ사법 조처와 관계 없이 사실 확인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1970년대부터 성수동에 2만8873㎡ 규모로 자리 잡고 있는 삼표레미콘 공장은 소음과 미세먼지, 매연, 도로파손 등으로 꾸준히 공장 이전 요구를 받아왔다. 2005년 서울숲이 개장되자 주민들의 이전 요구는 더욱 거세졌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임기 안에 공장 이전문제를 매듭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런 가운데 지난달 27일 공장에서 폐수가 무단 방류된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 800여명이 지난 5일 공장 정문 앞에 모여 공장 이전을 요구하기도 했다. 반면 삼표레미콘 쪽은 “40년간 공장을 운영하며 환경영향평가에서 문제가 없었다”며 공장 이전 문제와 관련된 ‘음모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