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스마트폰, 태블릿피시, 노트북을 제조하는 세계 17개 주요 글로벌 전자기기 제조업체 친환경 평가에서 낙제점을 겨우 벗어난 성적인 ‘D-’를, 엘지전자가 ‘D+’를 받았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7일 이런 내용이 담긴 ‘친환경 전자제품 구매 가이드’를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10여개 국에서 동시 발표했다. 구매 가이드는 그린피스 미국사무소가 작성한 것으로, 세계 17개 주요 정보기술 기업들의 환경을 위한 노력과 개선점을? △기후변화 대응 및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에너지) △친환경 제품 디자인과 ?자원? ?소비? ?절감 노력(자원) △제품 및 공급망 유해화학물질 제거 노력(화학물질) 등 3개 부문으로 나누어 평가했다.
이 평가에서 삼성전자는 에너지 부문과 자원 부문에서 D를 받고 화학물질 부문에서 D-로 평가돼, 종합 성적 D-를 기록했다. 중국계 기업으로 낙제점(F)을 받은 샤오미, 오포, 비보와 온실가스 배출량 조차 공개하지 않는 불투명한 기업으로 꼽힌 아마존 다음으로 저조한 성적이다.
그린피스는 이 가이드에서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스마트폰 제조사이자 이번 보고서에 언급되는 다른 기업들에 주요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이지만,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약속을 미루며 기후 변화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고, 심지어 업계 전체의 긍정적 변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는 삼성전자가 2016년 사용한 재생가능에너지 전력은 182GWh로 전체 전력 사용량 1만6000GWh의 약 1%에 지나지 않는 반면, 애플은? ?전체 전력? ?소비량의? 96%, 휼렛팩커드(HP)는 14%, 소니는 6%를 ?재생가능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휼렛팩커드의 경우 ?지난해? ?자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였을? ?뿐? ?아니라? ?협력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까지 21% ?줄이도록 했으나, ?삼성전자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2년 전에 비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17개 평가 대상 기업에 포함된 또다른 한국업체인 엘지전자는 에너지 부문에서 D, 자원 부문에서 C-, 화학물질 부문에서 D+로 평가돼, 삼성보다는 두 단계 높은 종합 D+의 성적을 받았다.
17개 글로벌 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성적은 종합평가에서 B를 받은 페어폰이 기록했고, 애플이 B-로뒤를 이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이인성? 정보기술(IT)? ?캠페이너는? “전자기기? ?생산에? ?있어? ?탄소? ?배출의? 75%? ?이상,? ?많게는? 80%? ?가까이가 완제품? ?조립? ?단계? ?이전? ?부품·소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다”며?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부품? ?공급사인 ?삼성전자가? ?재생가능에너지? ?사용? ?확대에? ?앞장선다면? ?그? ?파급력은? ?상당할?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전환? ?시대를? ?맞은? ?우리나라에서? ?재생가능에너지를? ?확대하려면? ?무엇보다? 아이티? ?업계? ?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