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27 11:16 수정 : 2019.02.27 11:27

덤불개개비

국립공원연구원, ‘길 잃은 새’ 추정

덤불개개비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의 박창욱 연구원은 지난해 8월 전남 신안군 비금면 서쪽에 있는 무인도인 칠발도에서 생전 처음 보는 새 한 마리를 발견했다. 개개비과로 추정되는 이 새는 한반도에서 서식이 확인된 기존 5종의 다른 개개비에 비해 크기가 작고 눈 위 까만 선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지 않았다. 몸통 색도 특이했다. 3만6000㎡ 넓이의 칠발도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도 특별보호구역에 속한 탓에 센터 쪽이 1년에 4차례 정기 모니터링를 하는 곳이다. 바다쇠오리·바다제비·슴새 등 해양성 조류가 집단 번식을 하고 이동성 조류가 중간 기착을 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박 연구원은 이 새의 사진을 개개비과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영국조류위원회 소속 피터 케널리 박사 등에게 보내 자문을 구했다. 문제의 새는 핀란드 남부와 아프가니스탄 일대, 시베리아 등에서 번식을 하고 인도·스리랑카·미얀마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 ‘덤불개개비’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덤불개개비는 몽골과 홍콩, 일본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

하지만 덤불개개비가 어떻게 신안군의 무인도까지 오게 됐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연구진은 일단 ‘길 잃은 새’로 판단했다. 길 잃은 새들은 태풍 같은 큰 기상변화에 부닥치거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정해진 경로를 벗어나 돌연히 새로운 지역에 나타나곤 한다. 박 연구원은 “덤불개개비가 발견된 건 기후변화에 따른 확산 가능성도 있어 앞으로 계속 관심을 갖고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