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2.27 12:00
수정 : 2019.02.27 17:16
|
기상항공기가 인공강우를 만들기 위한 연소탄을 살포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
기상청·환경부 1월25일 실험 분석
장산도에서 두 차례 빗방울 관측돼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확인불가”
|
기상항공기가 인공강우를 만들기 위한 연소탄을 살포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
지난달 25일 서해상에서 실시한 인공강우 실험 분석 결과 비를 내리게 하는 효과는 일부 확인됐지만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결론났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지난 1월25일 서해상에서 진행했던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됐으나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목표 지점인 내륙 지역에서 강우가 확인되지 않음에 따라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25일 서해상에서 기상항공기(킹에어 350)를 이용해 인공강우를 발생시킨 뒤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하는 합동 실험을 진행했다
기상청은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구름 살포 뒤 대기 중 구름 발달이 확인되고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됐지만 지상 부근 대기가 건조해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기상항공기에 장착된 관측장비로 구름 내부의 변화를 검토하는 분석에서는 작은 구름입자 총수농도는 1.7배, 큰 구름입자 총수농도는 4배, 강수입자 총수농도는 3.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상레이더 분석에서는 구름씨의 영향을 받은 하층운이 내륙에 상륙해 하층의 반사도가 강화된 것이 확인됐다.
|
지난달 25일 서해상에서 실시된 인공강우 실험 결과 장산도에서 두차례 강수가 감지됐다. 기상청 제공
|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지만 장산도에서는 자동기상관측장비(AWS)에서 오후 1시17분과 오후 1시25분 두차례 강수가 감지됐다. 기상청은 “수치모의에서도 장산도 자동기상관측장비가 강수를 감지한 시점에 구름씨 살포 물질의 농도가 증가해 이 강수가 인공강우 실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내륙에서 강수가 감지되지 않은 것은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낙하하는 강우 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인공강우 영향 예측지역에서 강우가 관측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고 기상청과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는 인공강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남 영광군과 목포시 용당동, 나주시 빛가람동, 장흥군 장흥읍, 전북 고창군 심원면 등의 대기오염측정망 5곳에서 관측을 한 결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초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이는 바람(풍속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들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오후 2시부터 다시 증가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