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6.06 10:47
수정 : 2019.06.06 10:48
|
낙동강 하굿둑 모습. 울숙도를 중심으로 ‘좌안’에 10문, ‘우안’에 5문의 배수문이 설치돼 있다. 환경부 제공
|
바닷물·민물 교차 수역 생태 복원 목적
대통령·부산시장 공약이자 숙원 사업
다른 하굿둑·신곡보 개방에 영향 줄 듯
|
낙동강 하굿둑 모습. 울숙도를 중심으로 ‘좌안’에 10문, ‘우안’에 5문의 배수문이 설치돼 있다. 환경부 제공
|
낙동강 하굿둑이 완공 32년 만에 처음으로 시범 개방된다. 하굿둑을 여는 것이 생태계 복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실험은 내년 말까지 3차례 더 진행될 예정이라 금강·영산강의 하굿둑과, 사실상 하굿둑 구실을 하는 한강 신곡보 처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은 낙동강 하구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수역) 생태계 복원을 위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실증실험’을 6일 밤 10시40분부터 40분 동안 벌일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실험의 목적은 수문 개방 때 바닷물이 얼마나(유입량) 어디까지(유입 거리) 역류하는지를 예측하는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환경부 등 관계기관은 밀물 때인 6일 밤 10시40분께 낙동강 하굿둑 좌안 수문 10기 가운데 1기를 40분 동안 열어 바닷물 50만t가량을 상류로 유입시킬 계획이다. 이 경우 해수 유입 영향은 상류 3㎞ 이내 지역에만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환경부 등은 내년 말까지 연구용역을 진행하면서 3차례 더 이런 실험을 해 기수역 생태 복원 가능성을 살핀 뒤 수문 개방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실험으로 인한 주변 염해(소금기 피해)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 농업용수가 상류로 15㎞ 떨어진 ‘대저수문’을 통해 공급되고 부산·경남·울산 지역 생활·공업용수도 상류 28㎞ 지역 물금·매리·원동 취수원에서 공급받아 실험 영향이 없다는 게 환경부 등의 설명이다. 인근 농민들의 지하수에 대한 염해 우려도 과도하다는 게 전문가들 반응이다. 박재현 인제대 교수(토목공학)는 “이 지역은 오래전부터 기수역이라 지금도 2~3m 아래로 파들어가면 소금물이 나온다. 게다가 고작 40분 열어놓은 것으로 지하수에 영향이 있다는 건 공학적 관점에선 상식에 어긋나는 얘기”라고 말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이 지역에선 오랜 숙원이었다. 환경단체들은 하굿둑 건설 20주년인 2007년께부터 “기수역 상실과 어패류 및 철새 개체수 감소, 녹조 발생 등 피해가 심각하다”고 주장해왔다. 하굿둑 개방은 문재인 대통령, 오거돈 부산시장의 공약이며, 서병수 전임 부산시장(당시 새누리당 소속)도 2025년까지 하굿둑을 완전 개방하는 방안을 발표하는 등 여야 간에 공감대가 있다. 인근 어민들도 개방에 긍정적이다.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등 60여개 환경·시민단체들은 6일 오후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염원하는 시민 선언’을 발표한다.
32년 만의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계기로 금강과 영산강의 하굿둑과 한강 신곡수중보 개방 논의가 탄력을 받을지도 관심거리다. 4대강 하굿둑들이 모두 1980년대에 지어져 기수역 생태계 훼손이 심각한데다, 문재인 정부 출범 뒤 4대강의 자연성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고조돼 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취수원 직전까지만 바닷물이 오가도록 하굿둑을 개방해 각종 용수를 확보하면서도, 기수역 생태계를 복원해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절충적 방안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언 서울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팀장도 “수년째 지지부진한 한강의 신곡보 개방 논의도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계기로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기용 김광수 기자
xeno@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