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호 태풍 바비가 제주를 강타한 26일 오후 제주시 동한두기길 한 공사장 주변 펜스가 강풍에 쓰러져 있다. 제주/연합뉴스
제8호 태풍 ‘바비’는 26일 오후 3시께 강도 ‘매우강’으로 발달한 채 제주도 서쪽 200㎞ 해상을 통과해 서해상으로 진출했다. 태풍 바비는 예상한 경로를 따라 북상중이어서 앞으로도 진로와 강도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태풍 바비는 이날 밤 8시께면 전남 목포 서쪽 160㎞ 해상을 여전히 강도 ‘매우강’인 상태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태풍은 이후 26일 자정께 군산 서쪽 170㎞ 해상을, 27일 새벽 2시께는 충남 태안 서쪽 120㎞, 새벽 4시께는 인천 서쪽 150㎞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을 지날 때도 태풍의 강도는 여전히 ‘강’인 상태를 유지하고 중심 부근 최대풍속도 초속 40m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초속 15m 이상 바람이 부는 강풍반경은 280㎞, 초속 25m 이상의 바람이 부는 폭풍반경은 100㎞나 된다. 서해안 쪽은 최대 순간풍속이 초속 30∼40m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태풍 경로는 전날 예상보다는 서쪽으로 40∼50㎞ 이동했다. 하지만 태풍의 진행과 강도의 예측이 앞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
우진규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이날 오전 11시30분 태풍 바비 현황과 전망 설명회에서 “태풍 바비가 우리나라 서쪽에 위치한 건조한 공기대와 오른쪽의 고기압 사이 1500㎞ 영역을 이동하는 중이어서 진로 변경 가능성이 클 수 있는 상황이고, 실제로 기상모델(예측 프로그램)들이 평소와 달리 태풍 진로의 변동폭을 크게 예측하고 있다”며 “하지만 현재의 기압계 상황에서 태풍의 진로 방향이 크게 선회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태풍의 예상 경로와 천리안위성 2A호가 관측한 실제 진로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 분석관은 또 “태풍의 강풍반경이 300여㎞에 이르러 수십㎞ 정도의 이동이 피해영역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강풍에 의한 피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는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제8호 태풍 ‘바비’가 제주도를 지나 서해상으로 북상하고 있다. 2020년 8월26일 오후 7시께 천리안 위성 2A호가 촬영한 영상.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제공
태풍 바비는 이날 제주 서쪽 해상을 지날 때 인근 해수온이 30도 가량으로 높아 중심기압 945헥토파스칼, 중심 부근 최대풍속 45m의 강도 ‘매우강’의 태풍으로 발달했다. 풍속이 44m 이상이면 사람과 커다란 돌이 날아갈 정도의 세기이다.
기상청은 “태풍 바비가 시속 22㎞ 속도로 서해로 북상중이어서 최대 순간풍속 초속 40m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40㎜ 안팎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26일 오후 7시에 발표한 태풍 ‘바비’ 예상 진로. 기상청 제공
기상청은 이날 오후 6시 현재 태풍으로 인해 전남 신안 가거도에서 최대 순간풍속 초속 43.4m가 기록되고, 진도 서거차도 초속 36.5m, 광주 무등산 33.2m, 전북 무주 덕유봉 24.9m 등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이 시각 태풍이 서쪽 200㎞를 인접해 지나간 제주에서도 윗세오름 초속 36.4m, 제주공항 32.7m 등의 풍속이 기록됐다. 태풍의 강풍반경이 300㎞가 넘어, 태풍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경남 통영 매물도에서도 초속 19.6m의 바람이 관측되고, 부산에도 초속 14.4m의 바람이 불었다.
태풍은 또 많은 비를 몰고와 오후 6시 현재 제주 산간에서는 400㎜가 넘는 강수량이 기록됐고, 태풍이 아직 본격적으로 접근하지 않았음에도 전남 강진군에는 100.0㎜, 경남 산청(지리산)에는 30.0㎜의 비가 왔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은 “바비는 고수온역인 제주도 인근에서 300㎞ 넘는 폭풍 및 강풍 반경의 ‘매우강’ 태풍으로 발달해 피해영역이 우리나라 동쪽지방까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03년 태풍 ‘매미’ 때 기록된 역대 최대순간풍속 1위는 초속 60m였다. 기상청은 철탑, 공사장, 가로수, 건물 부대시설 등의 상습적인 바람과 침수 피해 외에도 양식장, 인천대교와 영종대교 등 대교, 전기시설, 코로나19 선별진료소, 비닐하우스, 과수원 낙과, 가건물, 높은건물 등에도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니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