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시설로도 충분” 지적
서울시가 과천 서울대공원에 디즈니랜드를 유치하기 위해 월트디즈니사와 협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용인·양평·가평·남양주 등 수도권 외곽에 ‘한국판 디즈니랜드’를 만들어야 한다는 건설교통부의 용역보고서가 나왔다.
건설교통부와 국제용역업체인 아서디리틀은 1일 정부청사 및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수도권 공백을 막기 위해 마련한 ‘수도권 발전 보고서’에서 수도권 외곽에 대규모 여가시설을 유치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도권내 도심 주변에 대규모 여가시설이 드물어 도심 거주민에게 여가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서울과 접근성이 높은 동북부의 경우 상수원 보호에 따른 자연보전권역이 널리 설정돼 여가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해 △수도권 외곽 자연보전권역에 대규모 여가공간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수질·경관 보전을 위해 경기도 양평·가평·남양주·용인·안성·광주·이천·여주 등 8개 시·군에 걸쳐 모두 3832㎢가 지정돼 있다. 자연보전권역에선 3만㎡를 초과하는 택지·공업용지·관광지 등은 조성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잠실 롯데월드 터가 12만8245㎡에 이르고 용인 에버랜드가 14.88㎢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판 디즈니랜드’라고 불릴 만한 대형 놀이시설을 세우려면 법 개정이 불가피하다.
앞서 서울시는 미국의 디즈니랜드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올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조만간 디즈니랜드 유치 성과를 보여주겠다”고 거듭 밝혔다. 월트디즈니사는 한국 진출을 따져보기 위해 2003년 말부터 서울대공원 등 후보지 4~5곳에 대해 기초조사를 한 뒤 2005년엔 서울대공원을 놓고 집중적으로 상세조사를 벌여 왔다. 월트디즈니사는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올랜도, 일본 지바현, 프랑스 마른라발레, 홍콩 등 5곳에 디즈니랜드를 설립했으며, 각국 상황에 따라 현지 기업이 투자하거나 디즈니사가 출자해 사용료(로열티)를 환수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 정창무 교수(도시공학)는 “용인 에버랜드만 하더라도 전세계 테마파크 가운데 열손가락 안에 드는 규모”라며 “서울랜드나 용인 에버랜드 같은 대형 놀이공원은 반경 200~250km의 시장을 포괄하기 때문에 수도권 일대에 새로운 테마파크를 건립하는 것은 사업성 면에서도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허종식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