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9시30분께 백령도 기상관측소에서 기상청 직원이 촬영한 황사관측 사진. 기상청 제공
7일 오전 수도권을 중심으로 돌풍과 함께 비가 오는 가운데 백령도에서부터 황사가 관측되기 시작했다. 비구름은 낮에 걷히겠지만 강풍은 계속돼 황사가 전국에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황사 영향은 8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낮에 중부지방과 전북, 전남 동부내륙, 경북권, 경남 내륙에 한때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비의 양은 많지 않겠지만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서부와 충남 서해안, 강원 영동, 경북 북동산지, 경북 동해안에는 초속 10∼16m의 강풍이 불겠다”고 밝혔다. 태풍의 분류 기준이 초속 17m로, 태풍에 버금가는 강풍이다.
기상청은 오전 10시 울릉도·독도, 인천, 서울, 경북, 흑산도·홍도, 충남, 강원, 경기 등지에 오후 3시를 기해 강풍주의보를 발령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순간풍속이 초속 20m를 넘고, 특히 강원 영동은 초속 30m 이상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 영동에서는 강풍이 9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기상청은 “7일 낮에는 비가 그치고 차차 맑아진 뒤 8∼9일 전국이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이겠다. 기온은 8일과 9일 경기 동부와 강원 내륙·산지, 경북 내륙, 전북 동부를 중심으로 아침 기온이 5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고 예보했다. 하지만 낮 기온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0도 이상 오르는 곳이 많아 일교차가 15도 이상으로 크게 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한편 이날 오전 8시27분께 백령도에서 황사가 관측되는 등 8일까지 전국이 황사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하고 있다. 오전 10시 현재 1시간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백령도 637㎍/㎥, 연평도 134㎍/㎥이다. 기상청은 “5일부터 몽골 고비사막에서 황사가 발원하고 있으며, 북서풍에 의해 남동쪽으로 이동해 8일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