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30일 서울 구로구 한 요양병원에서 방호복을 입은 병원 관계자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요양병원·시설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집단감염이 확산되면서, 정부가 3차접종자를 포함해 모든 신규 입원 환자·입소자까지 선제적인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도록 했다.
16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의 오미크론 대응에 따른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방역 강화 안내 문서를 보면, 14일부터 이들 시설 선제검사 대상이 미접종 신규 입원 환자·입소자에서 3차접종 완료자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다른 병원에서 바로 옮겨온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신규 입원 환자와 입소자는 예방접종과 상관없이 피시아르 검사 2회와 4일간 격리를 거쳐야 한다.
아울러 종사자 대상 주기적인 선제 검사(접종력 무관 주 2회 PCR, 주 2∼3회 신속항원검사) 등 기존 방역조치에 더해, 외부 강사 프로그램 제공 중단 등 외부인 출입금지, 필수 외래진료 외 외출·외박 금지, 종사자 다중이용시설 이용 금지 강력 권고 등도 추가됐다. 요양병원·시설 접촉 면회는 지난해 11월부터 잠정 중단 상태다.
요양병원·시설 집단감염 건수는 지난해 12월 한 달간 60건(2212명 감염)에서 올해 1월 75건(3282명)으로 늘어난 데 이어, 2월 들어선 불과 1주간(1월30일∼2월5일) 48건(1543명)으로 급증했다. 16일 0시 기준으로 하루 동안 확인된 신규 집단감염 사례도 요양원 등 요양시설 5곳과 요양병원 3곳, 노인복지시설 1곳 등 9곳에 달한다.
오미크론 변이 중증화율(0.42%)과 치명률(0.19%)이 델타 변이 대비 3분의 1 수준이라곤 하지만, 고령층 등 고위험군에겐 여전히 치명적(중증화율 70대 3.1%·80살 이상 8.6%)이다. 경기도가 지난달 발생한 요양원·요양병원 집단감염 2건을 분석한 결과, 경증환자 비율이 80.9%로 델타 변이 유행이 한창이었던 지난해 9∼10월 39.2%보다 크게 늘었다. 하지만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 중증·사망 위험도 커질 수밖에 없다. 전국 27개 감염병전담요양병원 병상 가동률은 52.6%로 50%를 넘었다.
특히 3차접종 이후 시간이 경과해 예방효과가 떨어지면서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14일부터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와 종사자 약 50만명을 대상으로 면역저하자 약 130만명과 함께 4차 예방접종도 시작했다.
델타 변이의 2배 이상인 오미크론 전파력에 종사자들의 감염 사례도 늘면서 ‘시설 내 감염’과 ‘대규모 업무 공백’이라는 위험에도 맞서야 한다.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인력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역부족이라는 현장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요양병원협회 수도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조항석 연세노블병원장은 “직원들에게는 ‘나도 감염자일 수 있다’는 생각으로 개인 방역을 철저히 하자고 독려하고 있지만 규제만으론 한계가 있다”며 “정부도 요양병원·시설 현장과 입원 환자·입소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더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