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보단 다소 개선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16곳 가운데 10곳이 법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등 응급의료기관 상당수가 여전히 시설, 인력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7일 지난해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등 응급의료기관 433개를 대상으로 응급실 전담 전문의 배치, 응급환자 전용 시설 등의 확보 등을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광역시·도 단위의 최종 응급의료기관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시·도지사와 협의해 지정한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지역응급의료기관은 경증 응급환자 및 야간·휴일의 일반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곳으로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권역응급의료기관 가운데 법정 기준을 충족(100점 이상)한 곳은 서울대병원, 중앙길병원, 전남대병원, 원주기독병원, 목포한국병원, 안동병원 등 6곳이다. 부산대병원, 경북대병원, 울산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강릉동인병원, 충남대병원, 전북대병원 등은 B등급(80점 이상), 아주대병원, 마산삼성병원은 C등급(60점 이상), 충북대병원은 D등급(60점 미만)을 받았다.
복지부는 이런 결과는 2004년 평가에 비해 인력, 시설, 장비 면에서 크게 개선된 것이라고 밝혔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 기준을 충족한 곳은 2004년 3개에서 지난해 6개로 늘었고, 시설·장비 충족률이 각각 75.5%와 82.3%에서 88.8%와 98.9%로 좋아졌다.
전국 96곳의 지역응급의료센터도 법정기준을 충족한 곳이 2004년 43개에서 지난해 51개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에 따라 내년도 응급의료기금 146억 원을 배분해 지원할 계획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