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오남용을 줄이려면 의료 공급자 쪽과 환자 쪽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2월 병·의원의 항생제 처방률 공개로 항생제 처방 비율이 줄어들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는 의료공급자의 항생제 처방 행태를 겨냥한 것이다.
유근혁 복지부 보험급여평가팀장은 18일 “항생제 처방률은 항생제 내성의 위험성을 아는 환자들이 병·의원을 선택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라며 “이런 방법과 함께 항생제 처방이 너무 많으면 급여 비용을 삭감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유 팀장은 또 “국민들이 주사제를 너무 좋아하는데, 이 주사 가운데에도 항생제가 많다”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도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의료 공급자들이 합리적으로 항생제 오남용을 줄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진석 서울대 의료관리학 교수는 “한국의 수술실 인력과 시설 등은 미국 등 다른 나라에 비해 감염 위험에 더 노출돼 있어 항생제를 더 쓸 수밖에 없다는 의사들의 말에도 일리가 있다”며 “병원 감염 예방을 위한 인프라 확충, 감기 등의 질병에 대한 항생제 사용 표준지침 제정 등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또 “현재 의료 구조에서는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해도 경제적인 인센티브가 전혀 없다”며 “이에 대한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양중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