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쇄·차단 정책서 조기치료 중심으로 전환
‘신종 인플루엔자 A(H1N1)’의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지역사회 감염이 빠르게 늘자, 정부가 국가전염병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한 단계 높였다. 신종플루 발생을 ‘봉쇄·차단’하는 데서 조기 치료에 힘쓰는 ‘피해 최소화’로 정책 무게도 옮기기로 했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지난 20일 전문가 등이 참여한 ‘위기 평가 회의’를 열어, 국가전염병 위기 단계를 현재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 조정하기로 하고 21일 총리실 주관 관계부처 회의에서 그에 따른 대처 방안을 결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학교 집단 감염 등 감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감염자가 200명 넘게 발생하는 등 지역사회 유행이 확산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보건 당국은 최근 추세로 볼 때 올가을에 신종플루 유행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위기 단계를 ‘경계’로 올림에 따라, 감염자 조사·관리, 확진 검사 등에 지방자치단체들도 나서게 된다. 여러 시·도에 걸친 집단 발병 등은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대처한다.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은 “중앙의 감시·관리체계에 더해 지방자치단체까지 신종플루 대처에 나서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환자 발생 속도와 규모를 늦추는 ‘봉쇄·차단’ 정책에서, 중증이나 사망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 조기 치료 등에 중점을 두는 ‘피해 최소화’ 정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신종플루 감염자는 당분간 격리 입원치료를 원칙으로 하되, 증상이나 전염 기간 등에 따라선 자가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