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암 검진 사업…의료기관 검사 부실 등 원인 꼽혀
국가 암 조기검진에서 정상(음성) 판정을 받은 뒤 이듬해에 암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 한 해 70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소속 이애주 한나라당 의원이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제출받은 국가 5대암 검진사업 결과 자료를 보면, 2007년 암 검진에서 정상 판정을 받고도 2008년에 암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이 712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 보면, 위암의 경우 2007년 검진 때 정상이었던 145만7000여명 가운데 2100여명(0.15%)이 2008년 위암 판정을 받았다. 유방암은 정상 판정을 받은 131만5000여명 가운데 2300여명(0.18%)이 이듬해에 유방암으로 진단됐다. 대장암이나 간암도 이듬해에 암으로 진단된 비율이 각각 0.16%, 0.15%였으며, 자궁경부암은 0.03%로 다른 암보다 낮았다.
이처럼 원래 암이 아니라고 진단받은 이들 가운데 7000여명이 1년 사이에 암 판정을 받은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의원은 “우선 암 검진을 받을 당시에는 이상이 없다가 이후에 암이 진행됐을 수 있으며, 또다른 이유는 암이 있었는데도 오진으로 이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잘못된 진단의 원인으로는 검사 장비가 낡아 부정확하거나, 숙련된 인력 등이 부족해 판독에 오류가 있었거나, 검진기관의 과다 경쟁으로 검사가 부실하게 이뤄졌을 가능성 등을 꼽을 수 있다”며 “정부가 암 검진 의료기관의 질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