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 가능, 줄설 필요없어
고위험군 등 1716만명 대상
학생-영유아·임신부-노인 순
18살 이상은 한번만 접종
‘달걀 알레르기’땐 피해야
고위험군 등 1716만명 대상
학생-영유아·임신부-노인 순
18살 이상은 한번만 접종
‘달걀 알레르기’땐 피해야
‘신종 인플루엔자 A’(신종 플루) 예방접종이 오는 27일 의료인 및 방역요원을 시작으로 전국민의 35%에 해당하는 1716만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신종 플루 확산을 막기 위한 국가 예방접종을 내년 2월까지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예방접종은 학생, 노인 등 신종 플루에 걸리기 쉽거나 감염 뒤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의료인과 방역요원부터 시작해 11월 중순에는 초·중·고교 학생, 12월에는 영·유아와 임신부, 내년 1월부터는 노인과 만성질환자, 군인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대책본부는 “접종 순서는 예방접종심의위원회에서 감염 위험성과 전염 차단 효과를 따져 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은 “예방접종을 받으면 70% 이상이 열흘 정도 뒤에 면역이 생긴다”며 “예방접종이 본격화하면 신종 플루 유행은 상당 부분 누그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 예방접종을 받으려면 학생들은 학교에서 주사를 맞으면 된다. 각 지역 보건소에서 예방접종팀이 학교를 찾아 무료로 접종을 해준다. 영·유아와 임신부, 만성질환자는 가까운 지정 병·의원을 찾아 접종을 받으면 된다. 이때 예방백신은 무료지만 접종비는 내야 한다. 접종비는 의원의 경우 1만5000원, 큰 병원은 3만원가량 받는다. 역시 무료 접종 대상인 노인과 의료급여 대상자들은 보건소를 찾아 주사를 맞으면 된다. 전병율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장은 “국가 접종 대상이라도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접종을 받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예방접종은 18살 이상 성인은 1차례만 맞으면 되며, 영·유아나 학생은 소아용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가 나온 뒤 접종 횟수가 결정된다. 국가 접종 대상이 아닌 이들에 대한 접종은 내년 1월부터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 때는 병·의원에서 본인 부담으로 접종해야 한다. 신종 플루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뒤 나은 사람은 접종을 받을 필요가 없다.
■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이 본부장은 “만성질환자나 노인의 경우 혹시 예방접종을 못하게 될까봐 줄을 서는 경우가 있는데, 충분한 양의 백신이 이미 확보돼 있으니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며 “보건소나 병·의원에서는 사전에 예약을 한 뒤 접종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길게 줄을 서 기다리다 보면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으니 유의하라는 뜻이다.
또 과거에 독감 예방 접종 뒤 부작용을 경험했거나 달걀을 먹은 뒤 알레르기 반응을 겪은 적이 있다면 접종을 말아야 한다. 미열, 감기, 가벼운 설사 등의 증상이 있어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나, 몸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접종을 미루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 뒤 고열, 호흡곤란, 두드러기, 어지럼증 등이 나타난다면 곧바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