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좀더 논의뒤 확정”
대형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리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방안의 추진이 다소 늦춰진다. 재정립 방안 가운데 하나로 환자들이 대형병원 외래를 이용할 때 약값이나 진료비 부담을 더 높이는 것에 대한 반발이 심하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외래 진료를 받을 때 건강보험 약값 부담을 기존 30%에서 상급종합병원은 60%, 종합병원은 50% 등으로 높이는 안을 포함한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방안을 좀더 논의한 뒤 다음달 중순 이후에 확정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애초에는 이달 하순께 확정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강심위)에서 통과시킬 계획이었다.
이동욱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번 방안에 대해 대형병원 외래 진료시 환자의 약값 부담만 늘린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다소 혼선이 일고 있다”며 “국민과 의료공급자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좀더 시간을 가지고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 말 열릴 예정이던 건강심위를 비롯해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일정도 미뤄진다.
이 정책관은 “기능 재정립 방안은 의료제도 개선, 건강보험 급여 조정 등 30개 이상의 과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약값 부담만 높인다는 오해가 있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곽노현 “무상급식 투표 오세훈 시장직 걸어야”
■ 최중경 투기 의혹…장인 노후대비에 처가 선산까지?
■ 중국 ‘젠-20’ 전투기, 인공위성도 공격한다
■ 교과부, 초중고 ‘간접체벌’ 허용
■ 한나라 ‘세금폭탄론’ 카드 다시 꺼냈다
■ ‘녹화 전 분위기 띄우기’ 우리가 책임집니다
■ 유네스코가 정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한국의 언어는?
■ 최중경 투기 의혹…장인 노후대비에 처가 선산까지?
■ 중국 ‘젠-20’ 전투기, 인공위성도 공격한다
■ 교과부, 초중고 ‘간접체벌’ 허용
■ 한나라 ‘세금폭탄론’ 카드 다시 꺼냈다
■ ‘녹화 전 분위기 띄우기’ 우리가 책임집니다
■ 유네스코가 정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한국의 언어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