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연, 2638명 추적조사
라식 등 근시교정 시술을 받은 사람 10명 가운데 1명 정도가 수술 3년 뒤 시력이 10% 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5개 대학병원과 1개 안과병원에서 2002~2004년 라식 등 근시교정 시술을 받은 환자 2638명(5109안)을 대상으로 수술 뒤 안과검진 기록과 추적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술을 받은 지 3년 뒤에 라식은 8%, 라섹 등 표면절제술은 13.5%에서 시력이 다시 10% 이상 떨어지는 ‘근시퇴행’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를 보면, 라식 수술 대상자의 95.2%, 라섹 등 표면절제술 대상자의 90.3%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시력이 0.5 이상으로 유지됐다. 하지만 이런 시력교정술의 가장 흔한 후유증 가운데 하나인 야간 불편감은 조사 대상자의 23%가 호소했고, 안구건조감도 17%가 수술 전보다 더 심해졌다고 답했다. 각막 혼탁, 재수술, 각막 확장증 등 심각한 부작용도 드물게 발생했으나 대부분의 경우 시력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막혼탁은 라식에서 0.8%, 라섹 등 표면절제술에선 7.7%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최지은 임상성과분석실 책임연구원은 “수술 대상이나 근시의 심각성 등이 달라 (라식과 라섹) 두 수술의 효과를 직접 비교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수술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은 대상자의 근시 정도나 안압, 각막의 두께에 따라 달라졌는데, 라식의 경우 수술 전 안압이 15 미만인 경우에 견줘 15 이상이면 근시퇴행이 나타날 가능성이 2.7배 높아졌다. 또 수술 전에 초고도근시일 경우 가벼운 근시에 견줘 근시퇴행이 나타날 가능성이 11배 높아졌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