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주치의제도 도입
식습관 개선·병력관리 등
필요할 때 이웃처럼 돌봐
식습관 개선·병력관리 등
필요할 때 이웃처럼 돌봐
의학적으로 적절하다는 근거도 없는 과잉 예방의료를 국민들이 이용하지 않게 하려면 건강이나 질병에 대한 불안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의사가 주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치료법이나 건강 증진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없고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의 개선을 돕는 의료진들이 없는 상황에서는 질병에 대한 걱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값비싼 검진이나 예방접종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조경애 건강세상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의료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상태이고 자세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의료진마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암 등 중증질환에 대한 불안감이 드는 건 부유층이나 빈곤층이나 마찬가지”라며 “부유층은 경제적 여력이 있기 때문에 값비싼 건강검진이나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고 빈곤층은 그럴 수 없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김선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오이시디(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프로젝트 지원단장은 “국내 대형병원들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지 못해 암 등 중증질환에 걸릴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의 불안심리에 딱 맞는 검진 상품을 내놓은 셈”이라며 “이런 분위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시티(CT)나 엠아르아이(MRI)와 같은 고가의 영상장비 보유 비율이 오이시디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이시디에서도 최근 낸 ‘한국 의료의 질 검토 보고서’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돕고 각 개인의 상황에 맞는 꼭 필요한 조기검진을 받도록 권고하는 주치의 제도를 도입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김 단장은 “오이시디에 속하는 유럽 대다수 나라들이 주치의 제도를 가지고 있고, 유럽 국가에서 과잉 건강검진이 성행하지 않는 것도 바로 주치의 제도 덕분”이라고 말했다. 평소 생활습관이나 건강 위해 요인을 잘 파악하고 있는 주치의가 판단하기에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면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운동이나 식습관 개선을 권고하면서 꼭 필요한 검사나 예방접종을 받도록 권고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각종 검진에 포함된 검사나 선택예방접종에 대해서는 정부나 건강보험공단이 이의 장단점을 충분히 설명해 주는 정보와 권고기준을 국민들에게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종합검진상품에 불필요한 검사가 많다는 지적은 맞다”며 “이르면 오는 11월께 의학계와의 논의를 통해 종합검진 등에 들어 있는 각종 고가의 검사에 대한 적정 권고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