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성생활
호르몬 영향 받는 암일 땐 제외
부부간 대화·이해가 가장 중요
호르몬 영향 받는 암일 땐 제외
부부간 대화·이해가 가장 중요
암 진단을 받으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 반복되는 치료에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다. 배우자 역시 치료받는 환자 앞에서 자기의 욕구만 채우려는 것 같아 말도 꺼내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암 환자의 성생활은 금기가 아니다. 물론 수술 직후 회복 단계나 골반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항암 치료 뒤 백혈구나 혈소판 수치가 떨어지는 시기는 피하는 것이 좋지만 대체로 주된 치료 시기가 지나면 성생활이 가능하다.
문제는 성생활을 제대로 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여성의 경우 암 치료 과정에서 정상적인 월경이 없어지면 여성 호르몬 분비가 되지 않거나 크게 줄었다는 의미인데, 이때 성 관계를 가지면 자극에 무뎌지고 건조감에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물론 만족감도 떨어지면서 점차 성생활을 피하게 된다. 이때에는 여성 호르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인 질 부위의 건조감 때문에 나타나는 통증은 질 부위에 바르는 호르몬을 쓸 경우 좋아진다. 바르는 약은 전신으로 흡수되는 양이 적어 부작용도 적다.
만족감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먹는 호르몬 약을 써야 호전되는데 이때에는 금기가 있다. 바로 유방암 등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암이다. 이때에는 질 안의 산성 상태를 해치지 않는 윤활액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성기능 향상을 위해 소량의 남성 호르몬을 사용하기도 하나, 국내에는 아직 시판되지 않은 상태이며 유방암 환자에게는 이 남성 호르몬의 사용도 금기이다.
암 환자의 성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부 사이의 대화와 서로에 대한 이해다. 치료 과정에서 생기는 신체의 변화 때문에 달라진 배우자의 상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조건 치료 뒤 발생한 불편함을 감수하려 하지 않거나 배우자가 환자라는 생각에 지나치게 조심하는 것도 서로가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이 될 수 있음에도 주의해야 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 이동옥 국립암센터 자궁암센터 전문의 <한겨레 인기기사>
■ 밤마다 성폭행 당하다 도망나온 티베트 비구니
■ “현대차, 정몽구회장 구명 로비 친노 386의원 8명에 1000만원씩 건네”
■ 삼성가 소송싸움 ‘계열사 이해관계’ 따라 갈리나
■ 박세일 “전여옥 비례대표 1번은 오보”
■ ‘배꼽’ 달린 물고기를 아십니까
도움말: 이동옥 국립암센터 자궁암센터 전문의 <한겨레 인기기사>
■ 밤마다 성폭행 당하다 도망나온 티베트 비구니
■ “현대차, 정몽구회장 구명 로비 친노 386의원 8명에 1000만원씩 건네”
■ 삼성가 소송싸움 ‘계열사 이해관계’ 따라 갈리나
■ 박세일 “전여옥 비례대표 1번은 오보”
■ ‘배꼽’ 달린 물고기를 아십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