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 철분 농도 너무 높을 때는
뼈 밀도 낮아지는 속도 빨라져
뼈 밀도 낮아지는 속도 빨라져
몸속에 철분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골다공증에 걸릴 가능성을 높게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몸속 철분 농도가 너무 높으면 간 기능을 떨어뜨리고 심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는 나왔지만, 사람의 뼈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다.
고정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2007년부터 병원을 찾은 40살 이상 남녀 1729명(여 940명, 남 789명)을 대상으로 몸속에 저장된 철분의 농도와 뼈 건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철분 농도가 높으면 뼈 밀도가 낮아지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뼈 분야의 논문집인 <뼈와 무기질 연구>에 실렸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저장된 철분의 농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눠 각각의 뼈 밀도와 뼈 밀도가 낮아지는 속도를 비교했는데, 저장된 철분 농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가장 낮은 집단에 견줘 한해 뼈의 밀도가 낮아지는 속도가 여성의 경우 34.1%, 남성은 78.5% 더 빨랐다. 뼈 밀도가 낮아지는 속도가 남성에게서 더 빠른 것은 남성의 경우 한해 뼈 밀도가 낮아지는 속도가 여성보다 크게 낮아 약간의 변화에도 그 변화가 더 큰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뼈 밀도가 낮아지면서 외부 충격에 뼈가 부러질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폐경한 여성의 경우 저장된 철분 농도가 가장 높은 집단의 척추골절 발생률이 5.8%로, 가장 낮은 집단의 1.1%에 비해 5배 이상 높았다. 연구팀은 “남녀 모두 나이가 들면서 뼈 밀도가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는데, 뼈 밀도의 감소는 골절 위험을 높이는 요소이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무분별한 건강보조식품과 철분제의 과잉섭취가 뼈 건강에는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만큼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금메달 스트레스’에 어금니가 빠졌다”
■ ‘턱·다리 부상’ 박주영, 가봉전 출전은?
■ ‘소통이라더니…’ 새누리당 누리집 이념·지역갈등 조장
■ “노상까고, 삥도 뜯었지만…폭력만큼은 평생 죄책감으로”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 “‘금메달 스트레스’에 어금니가 빠졌다”
■ ‘턱·다리 부상’ 박주영, 가봉전 출전은?
■ ‘소통이라더니…’ 새누리당 누리집 이념·지역갈등 조장
■ “노상까고, 삥도 뜯었지만…폭력만큼은 평생 죄책감으로”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