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환자·가족 990쌍 조사
18% 자살충동…2.8%는 시도까지
실직·빈곤 겹치면 자살가능성 2~3배
18% 자살충동…2.8%는 시도까지
실직·빈곤 겹치면 자살가능성 2~3배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은 우울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들 가운데 결혼 상태가 아니거나 실직했거나 경제적 수준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자살 시도 가능성이 최고 3.6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의 박종혁(암정책지원과)·박보영(암검진사업과) 연구팀은 전국의 암 환자와 보호자 990쌍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측정도구를 이용해 설문조사한 결과,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 가운데 82.2%가 우울 증상을, 38.1%가 불안 증상을 가진 것으로 평가됐다고 14일 밝혔다. 또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 가운데 17.7%는 지난 1년 동안 자살 충동을 느껴 봤으며, 같은 기간 자살 시도를 한 사람은 전체의 2.8%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자살 충동 및 자살 시도 가능성에는 우울 혹은 불안 증상과 함께 결혼 상태, 실직 여부, 경제적 상태 등도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우울 증상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견줘 자살 시도 가능성이 2.4배가량 높았다. 또 불안·우울 증상이 있는 암 환자 가족일지라도 실직 여부, 결혼 상태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자살 시도 가능성은 또 달라졌다. 불안·우울 증상이 있는 암 환자 가족이 간병하는 동안 실직하면, 같은 불안·우울 증상이 있되 애초 비고용 상태였던 사람에 견줘 자살 시도 가능성이 3.27배 높아졌다. 또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비결혼 상태인 경우 결혼 상태인 사람에 견줘 자살 시도 가능성이 3.6배, 경제적 상태가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2.7배 높아졌다.
연구팀은 “암 환자를 간병하면서 생긴 불안·우울 증상과 함께 실직에 따른 사회적 접촉 및 지지의 감소, 낮은 삶의 질 등이 더해지면서 자살 시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오랜 기간 암 환자를 돌보면서 우울·불안 증상을 보이는 암 환자 가족에 대해 의료진과 다른 가족이 암 환자에 준하는 정도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연구팀은 권고했다. 박종혁 암정책지원과장은 “암에 걸린 환자의 정신건강이 문제가 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인데 이와 함께 암 환자 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노력 역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할 타자’ 류현진에 매팅리 “진정한 메이저리거” 극찬
■ 아! 김응용…한화 13연패 ‘굴욕’
■ 낸시랭, 박정희 대통령 볼에 뽀뽀 ~ 앙
■ 진중권, 민주당 원색비난…“문재인 빼면 쓰레기더미”
■ 공중부양 싸이 ‘싼티나게 쭈욱~’
■ ‘4할 타자’ 류현진에 매팅리 “진정한 메이저리거” 극찬
■ 아! 김응용…한화 13연패 ‘굴욕’
■ 낸시랭, 박정희 대통령 볼에 뽀뽀 ~ 앙
■ 진중권, 민주당 원색비난…“문재인 빼면 쓰레기더미”
■ 공중부양 싸이 ‘싼티나게 쭈욱~’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