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에게 합병증이 나타나 지난 1일과 22일 각각 한명씩 숨졌다.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396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표본 감시해보니, 수족구병 의심 환자 발생 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지난달 30일~이달 13일 31.4명으로 지난해 비슷한 기간의 27.9명에 견줘 많았다.
수족구병은 가벼운 열이 나면서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 등에 쌀알 크기의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병으로, 대부분 일주일 정도 지나면 좋아지지만 드물게 무균성 수막염이나 뇌염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외출 뒤에는 손을 잘 씻어야 하며, 증상이 의심되는 아이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 보내지 않아야 한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한민국은 지금 ‘똥별 전성시대’
■ 모텔, 대낮에 왜 갈까? 그들의 은밀한 ‘네 가지’
■ 관광객 1명당 40만원에 사오기…중국인 제주 관광 ‘100만명 시대’의 허실
■ 영어 모의면접, 한자 3천자 외우기…상하이의 ‘명문 초등’ 입시 점입가경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 대한민국은 지금 ‘똥별 전성시대’
■ 모텔, 대낮에 왜 갈까? 그들의 은밀한 ‘네 가지’
■ 관광객 1명당 40만원에 사오기…중국인 제주 관광 ‘100만명 시대’의 허실
■ 영어 모의면접, 한자 3천자 외우기…상하이의 ‘명문 초등’ 입시 점입가경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