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량 부족·채소 섭취 적은 탓
20대에선 여성이 남성의 4.6배
20대에선 여성이 남성의 4.6배
변비로 병원을 찾은 환자 가운데 10살 미만 어린이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 등 섬유질 성분의 음식을 많이 먹지 않거나 운동 부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8~2012년 변비 관련 건강보험 통계 자료를 분석해보니, 변비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08년 48만5696명에서 2012년 61만8586명으로 30%가량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2012년 변비 환자를 나이대별로 분석해보니, 10살 미만이 가장 많은 17만2187명으로 전체의 27.8%를 차지했다. 이어 70살 이상이 15만2659명(24.7%)이었다. 조용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아이들과 노인이 변비가 많은 이유는, 노인은 신경계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등으로 변비 증상이 2차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아이들은 변비를 일으키는 일반적인 이유인 운동 및 섬유질 섭취의 부족 등이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별 분석에서는 잘 알려진 대로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40%가량 많았다. 여성 환자가 35만9408명, 남성 환자가 25만9178명이었다. 특히 20대에선 여성이 2만3251명으로 남성의 5080명에 견줘 4.6배나 됐다. 조 교수는 “여성 호르몬은 대장 운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 중이나 배란일에서 월경 전까지 변비가 더 심해질 수 있다. 운동 부족, 섬유질·수분 부족, 불규칙한 배변 습관, 스트레스 등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변이 매우 단단하거나, 배변 뒤에도 변을 덜 본 것은 같은 느낌이 들거나, 변을 볼 때 항문이 막히는 느낌이 들거나, 변을 도구를 이용해 파내야 볼 수 있거나, 일주일에 3번 미만을 보거나, 변을 볼 때 과도한 힘을 줘야 하는 증상 가운데 2개 이상이면 변비로 진단된다. 이를 예방하려면 음식을 먹을 때 섬유질이 충분한 채소 등을 잘 챙겨 먹고, 하루에 1.5~2ℓ 이상의 물을 마시고, 스트레스와 긴장을 피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복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을 충분히 하는 것도 변비 예방에 좋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