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4년전보다 환자 58%↑
망막 장애로 병원을 찾아 치료받은 환자가 한해 평균 12%씩 늘고 있으며, 환자는 주로 50~70대에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통계 자료를 보면, 2012년 망막장애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는 85만7813명으로 2008년 54만2200명에 견줘 58.2% 증가했다. 한해 평균 12.2%씩 늘어난 셈이다. 또 같은 기간 망막 장애로 수술을 받은 환자도 53.8%(6만4455명→9만9136명)나 늘었다. 망막장애는 시야의 일부가 가려지는 시야 장애나 시력이 감소하는 시력 장애 또는 눈앞에 모기 등이 날아다니는 것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망막 장애 환자는 주로 50대 이상 중노년층에 많았는데, 2012년을 살펴보면 60대 환자가 전체의 26.5%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가 22.6%, 50대가 21.9% 순이었다. 정은지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교수는 “50~70대에서 망막장애 환자가 많은 것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고혈압이나 당뇨와 관련이 있다. 당뇨의 합병증으로 망막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고혈압이 관리되지 않으면 망막 혈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망막 장애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주로 50대 이상에서 많은 만큼 이 나이대에서 시야 장애나 시력 저하 등이 나타나면 안과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또 고혈압 및 당뇨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흡연은 백내장이나 황반변성과 같은 망막 질환과 관계가 깊으므로 금연이 권장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