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종에 내성 지닌 폐렴구균 발견
원래 처방되던 여러 종류의 항생제가 듣지 않는 폐렴구균이 한국에서 발견했다. 다행히 작은 효과라도 보이는 항생제가 있기는 하지만, 주변 환자들한테 전파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강철인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팀은 2011~2012년 폐렴구균 보유 환자 510명 가운데 5명이 치료약으로 쓰던 페니실린·테트라사이클린·퀴놀론 등 8종의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지 않는 내성균을 지닌 사실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폐렴구균은 아직 국외에서도 보고된 적이 없다고 강 교수팀이 전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 펴내는 학술지 최근호에 실렸다.
다만 이들 5명의 환자는 평소 폐렴구균 환자한테 잘 쓰지는 않지만 강력한 항생제인 반코마이신이나 최근에 출시된 리네졸리드 계열의 항생제를 쓰면 미약하게나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들은 평균 나이가 71.8살로 뇌혈관질환 등을 앓아 건강 상태가 매우 나빴으며, 오래도록 항생제 치료를 받아 내성균에 노출될 위험을 키웠을 수 있다고 강 교수팀은 설명했다. 5명 가운데 3명은 요양기관에서, 2명은 다른 병원에서 석달 넘게 항생제 치료 등을 받다 상태가 심각해져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겼다. 이 가운데 1명은 다른 항생제로도 치료 효과가 없어 입원 7일 만에 패혈증으로 숨졌다.
국내에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이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 항생제 오남용과 관련이 크다는 지적이 많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4년 보건의료 통계’를 보면, 한국의 항생제 소비량은 1000명당 하루 28.4단위(일일상용량)로 오이시디 평균인 20.3단위보다 크게 높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