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연령대 평균보다 3배 많아
5년 전보다 전체 환자 1.3배↑
5년 전보다 전체 환자 1.3배↑
‘불안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70대 이상 노인층에서 가장 많은 등,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8~2013년 건강보험 진료 통계 가운데 불안장애 관련 통계를 분석해보니, 70대 이상에서 환자가 가장 많아 인구 10만명당 3051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어 60대가 2147명, 50대는 1490명, 40대 1016명순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불안장애 환자가 늘었는데, 특히 70대 이상은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가 전체 평균(1101명)의 3배에 이른다. 성별로는 여성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가 1401명으로 남성의 807명에 견줘 1.7배다. 불안장애 환자는 2008년 39만8천명에서 2013년 52만2천명으로 1.3배 늘었다.
‘불안장애’는 병적인 불안·공포로 호흡 및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공황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맥박수·혈압 상승 등의 증상을 보이며 어지럼증·두통 등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윤지호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노후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자녀를 챙기느라 노후에 대비하지 못한 노인들이 질병 등 건강 문제까지 겹쳐 불안장애를 겪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불안이 여러 신체 증상도 일으키기 때문에, 불안장애 환자들이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다른 과를 찾는 경우가 흔하다”며 “다른 질병을 살피는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어지럼증, 호흡 곤란, 가슴 두근거림 따위의 증상이 계속 되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